올해 추경 미세먼지 대응 405억 반영
노후 경유차 단속·中 협력체계 강화
설탕 알갱이보다 작은 입자를 가진 ‘미세먼지’가 매년 계절이 변할 때마다 국내 최대 현안으로 떠오르면서 전국이 문제 해결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미세먼지는 호흡기 질환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암을 발병시키는 요인으로도 지목, 인체에 악영향을 준다. 특히 최근 발생하고 있는 미세먼지는 그 농도가 과거보다 더욱 짙어졌음은 물론 지속되는 시간도 길어져 국민 삶에 막대한 피해를 끼치고 있는 실정이다.
경기지역 미세먼지 역시 해가 갈수록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전국 최대 지자체인 경기도는 전방위적 미세먼지 대책을 펼치며 미세먼지를 잡고자 총력을 기울이는 중이다. 도내 31개 시ㆍ군 또한 지역 환경과 여건에 맞게 각종 미세먼지 대비책을 꺼내며 ‘내일의 맑은 하늘’을 준비하고 있다. 이에 본보는 경기도 내 미세먼지 현황을 분석하고 도내 지자체별 미세먼지 대응책을 살펴보면서 미세먼지의 현실을 짚어본다.
■ 해마다 심해지는 미세먼지… 5년 새 주의보ㆍ경보 4배↑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최근 5년(2014~2018년) 동안 경기도에 내려진 미세먼지(PM10) 주의보와 경보, 초미세먼지(PM2.5) 주의보와 경보는 각각 횟수와 지속시간이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미세먼지 주의보는 권역별 평균 150㎍㎥(경보는 평균 300㎍㎥) 2시간 지속 시, 초미세먼지 주의보는 권역별 평균 75㎍㎥(경보는 평균 150㎍㎥) 지속 시 내려진다.
우선 최근 5년간 경기도 전역에 내려진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주의보·경보를 보면 2014년 17회(362시간)에서 2015년 60회(946시간), 2016년 37회(459시간), 2017년 74회(1천139시간), 지난해 72회(1천360시간)로 증가세를 보인다. 2016년에 한 차례 감소세에 접어들기는 했지만, 이를 제외하고는 계속 발령시간이 증가해 2014년과 지난해를 비교했을 때 5년간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주의보·경보 횟수는 4.2배, 지속시간은 3.7배 늘었다.
인체에 더욱 해로운 영향을 주는 초미세먼지만 따로 놓고 보면 최근 들어 더욱 심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초미세먼지 주의보·경보는 2014년 16회(347시간)에서 2015년 12회(153시간), 2016년 10회(153시간)로 감소했다가 2017년 30회(686시간), 지난해 43회(1천88시간)로 크게 증가했다.
결국 경기지역 미세먼지는 과거보다 더 짙어지고 오래 지속되고 있을 뿐 아니라 크기까지 작아지고 있어 도민 건강을 위협한다는 지적이다.
■ 미세먼지 잡아라… 道, 전방위 대책 추진
심화되고 있는 미세먼지에 대응하고자 경기도는 미세먼지를 잡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미세먼지가 도민들의 삶에 큰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만큼 이를 반드시 잡아내겠다는 복안이다.
우선 경기도는 올해 1조 8천902억 원 규모의 추경 예산 중 미세먼지 대응에 405억 원을 반영했다. 구체적으로는 친환경자동차 구매, 수소연료전지차 보급 등에 282억 원이 편성됐으며, 전기버스 구입비, 취약계층 미세먼지마스크 지급 예산 등에 213억 원이 반영됐다.
이와 함께 도는 지난 6월1일부터 미세먼지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노후 경유차 등 배출가스 5등급 차량 운행 제한 조치(고농도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발령 시)를 시행 중이다. 현재 도는 도내 17개 시·군 내 59개 지점에 설치된 118기의 ‘노후 경유차 운행제한 CCTV’를 활용, 도내에서 운행되는 ‘배출가스 5등급’ 차량 전체를 대상으로 단속을 실시하고 있다. 지난 5월 기준 도내에는 43만여 대에 달하는 5등급 경유차가 등록돼 있다.
또 중국발 미세먼지를 잡기 위해서 중국과의 협력체계도 강화하기로 했다. 도는 지난 3월 ㈔한중문화청소년협회, 중국국제청년교류중심 등과 함께 ‘제3차 중국사막화방지 조림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3개 기관은 2019년부터 2023년까지 5년간 총 150ha 면적에 ‘경기도 녹색생태원’을 조성, 연간 5만 5천 그루씩 총 27만 5천 그루의 나무를 심기로 했다. 사업비는 경기도가 매년 1억 5천만 원씩 총 7억 5천만 원의 예산을 지원할 예정이다.
글_이연우ㆍ김태희기자 사진_경기일보 DB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