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칼럼] 진보와 보수에 관하여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대한민국의 정치는 크게 진보와 보수라는 서로 다른 이념을 가진 두 세력 간의 팽팽한 대립 사이에서 발전해왔다. 그러나 두 세력 간의 대립이 갈수록 심화돼 국회, 집회 등에서 각종 폭력적인 형태의 대립이 벌어졌고 국민들도 두 세력으로 분열, 대립하게 됐다.

최근 국회에서 패스트 트랙 안건 발의로 인해 벌어진 대립과 청와대 사이트에 올라온 특정 정당 해산 청원과 관련된 발언들은 두 세력 간의 양극화의 심화를 보여주는 사례다. 이렇듯 서로가 서로를 부정하고 비판하고 더 나아가 혐오하는 현재 대한민국의 정치는 앞으로의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다. 현 시점에서 필자는 심각해진 두 세력 간의 대립을 완화시킬 수 있는 요소들 중 가장 효과적인 요소가 언론이라고 주장한다.

우리나라의 정치체제로 일컬어지는 ‘삼권분립’의 세 정치기관마저 현재 진보 진영과 보수 진영으로 분열돼 있는 상태에서 두 세력 간의 갈등의 완화제 역할을 맡을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요소는 언론이다. 물론 현재의 언론 역시 진보진영과 보수진영으로 갈라져 국민들 간의 갈등을 심화시키는 요소라는 것에는 반박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두 진영의 언론들이 서로의 의견을 이해하고 적절한 비판과 수용을 통해 양측의 의견을 확실하게 전달한다면 국민들 간의 갈등을 완화시키고 서로의 의견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의 언론을 필자가 제시한 언론의 형태로 개혁하기 위해선 국민들의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즉, 이러한 현상의 근본적인 해결책은 국민들이 한 쪽으로 편향된 시각을 갖지 않고 상황에 맞는 융통성 있는 사고로 언론에서 보도된 잘못되거나 편향적인 기사에 현혹되지 않는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언론 역시 자신들의 모습을 자각하게 될 것이고 진정한 언론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현재 대한민국은 과열돼 있다. 모두가 자신들과 한편인 자들을 옹호하고 반대쪽의 의견을 비난하고 있다. 무조건적인 평화와 중립이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 다는 것을 인정하지만 반대로 무조건적인 대립 또한 발전에 도움이 안 되는 것은 마찬가지다. 그러므로 양측 모두 적절한 대립과 수용으로 개인과 단체의 이익만이 아닌 모두의 이익을 추구해야 한다.

이민준 남양주 와부고 1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