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관 공정 98%·LNG 위성기지는 90%… 완공 코앞인데
안산시 “위험·혐오시설” 이유 변경 요구… 주민들 “배경 의문”
안산시가 수백억 원을 투입, 주요 분야의 공정률이 90%를 넘어서고 있는 대부도 주민들의 숙원사업인 도시가스 공급사업(에너지타운 조성사업)에 대해 뒤늦게 위치 선정 등의 문제를 내걸며 뒤늦게 부지이전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져 논란을 빚고 있다.
27일 시와 대부도 주민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17년 11월께 대부도 주민들의 도시가스 공급 등을 위해 총 363억 원의 예산을 들여 단원구 대부도 대부북동 1975 일대 1만2천288㎡ 부지에 LNG 위성기지와 도시사스 공급망 그리고 신재생에너지 시설이 포함된 에너지타운 조성사업을 착공했다.
이에 시는 사업자인 (주)삼천리와 3차례 간담회에 이어 지난해까지 지역주민 등으로 구성된 대부미래포럼과 총 12차례에 걸친 포럼을 통해 도시가스 공급방안 등에 대해 협의를 실시했다. 또 지난 2015년부터 2년 동안 걸쳐 실시된 용역결과를 통해 접근성은 물론 수요지 그리고 주거지역과의 거리 및 사유지 보상문제 등에 대한 검토를 거쳐 현재 대부북동 1975 일대를 에너지타운 최적지로 선정, 착공에 돌입했다.
그동안 시는 에너지타운 조성사업을 위해 공유재산취득 승인 및 사업부지 매입(등지)은 물론 도시계획 심의, LNG 위성기지 건립에 따른 개발행위허가, 신재생에너지시설 발전사업허가 등 에너지타운 조성에 따른 업무를 추진해 왔다.
이에 현재 주요시설 가운데 토지매입은 100% 완료된데 이어 100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된 도시가스 공급관은 98%(19.6㎞), 20억 원의 LNG 위성기지(29.9t X2기)는 90%의 공정률을 나타내고 있다.
이처럼 에너지타운 조성사업이 분야별 주요공정에서 90%대의 높은 공정률을 보이며 도시가스 공급을 앞두고 있으나 최근 안산시가 사업부지가 대부도 초입인 방아머리에 위치해 위험할 뿐 아니라 혐오시설임을 지적하며 뒤늦게 위치 변경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시 내부 방침에 따라 에너지타운 마무리 조성사업이 때아닌 장벽에 부디친 가운데 지난해 말부터 대부도 주민들에게 도시가스를 공급하려던 계획에 차질이 발생, 주민들의 반발을 자초하고 있다.
대부도 주민 K씨는 “이미 주민들과 협의를 거쳐 위치와 발전사업허가 등을 받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제와 무슨 위험 및 혐오시설을 운운하는 것인지 이해할 수 없다”며 “이게 안산시 행정의 현주소인지 궁금하며, 또 그 배경이 의문스럽다”고 말했다. 이에 시 관계자는 “하루 빨리 도시가스가 주민들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원론적 입장만을 되풀이했다. 한편 사업권자인 (주)삼천리는 현 단계에서 사업부지를 옮기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안산=구재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