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승의 날 특집-선생님 이야기] 나이 서른아홉에 주례서기

1990년 봄. 교육대학을 졸업하고 스물다섯에 안산 관산초등학교로 첫 발령을 받았다. 2005년 봄. 제자 성희가 남편될 사람과 주말에 찾아오겠다고 전화를 했다. 전화로 주례를 서 달라며 여러 번 간곡하게 부탁했는데, 이러저러한 핑계로 거절했다. 이번엔 직접 찾아온다니, 제자의 방문에 반가움보다 걱정이 앞섰다.

내가 승낙을 못하는 이유는 이랬다. 뚜렷한 직함 하나 없는 서른아홉의 초등학교 평교사가 주례 서는 걸 남들은 어떻게 생각할까? 또 신랑 나이가 서른셋이니 나와 여섯 살 차이 밖에 나질 않는데, 동년배가 주례를 서는 법도 있나? 신랑 신부 측 어르신들이 아직 인생사를 배워야 할 나이에 주례를 서는 젊은이를 건방지게 생각할 수도. 무엇보다도 난생 처음 많은 하객들 앞에서 주례를 설 용기가 없었다.

제자는 남편 될 사람과 마다하는 나를 주저앉히고 큰절을 했다. 이 핑계 저 핑계 대기도 하고, 설득도 하고, 존경받는 지인을 주례사로 소개하겠단 말도, 모두 허사였다. 이야기를 하면 할수록 내가 오히려 애원을 하는 처지가 되었다.

일이 안 풀린다고 생각했는지 제자는 눈물을 보이며 말했다.

“초등학교 때, 선생님 아니었으면 지금의 저는 없을 거에요. 선생님도 아시잖아요. 주례 서주시는 게 그렇게 힘드세요. 저희 선생님이 주례 안 서 주시면 결혼 안 할 거예요. 나이나 직함이 무슨 문제예요. 선생님이면 돼요.”

제자의 눈물을 보자, ‘까짓것 해보지 뭐!’ 어디서 용기가 났는지 덜컥 허락을 하고 말았다. 곧바로 준비에 들어갔다. 우리 부부가 식을 올린 예식장을 찾았다. 알지도 못하는 사람들 결혼식에 네 차례나 하객으로 참석해 주례사의 예식 집전도 꼼꼼하게 살폈다. 주례 집전 순서를 머릿속에 넣는 것도 일이었다. 멋진 주례사를 쓰고 싶은 욕심에 인터넷 검색을 하고, 주례사에 관계된 책을 사서 읽은 뒤에야 주례사를 쓸 수 있었다. 수십 번 읽어서 외웠다.

실전연습으로 우리 반 아이들과 결혼식 연극 놀이를 했다. 아이들의 역할을 정했다. 신랑, 신부, 신랑 부모님, 신부 부모님, 사회자, 하객 등. 주례는 당연히 나다. 연극은 회를 거듭할수록 진짜 결혼식처럼 짜임새가 있었다. 하도 많이 했더니 아이들도 자기들 결혼할 때 하나도 어렵지 않겠다고 했다.

2005년 4월 24일 일요일 12시 30분. 제자 결혼식 당일 아침, 나이 들어 보이게 몸치장을 했다. 주례 설 때 입으려고 사둔 양복을 입었다. 내 마음에 들지 않는 장년에나 어울릴 디자인과 색깔이다. 조금 더 나이 들어 보인다. 동네 단골 미용실을 찾았다. 최대한 나이 들어 보이게 머리 손질을 하라고 부탁했다. 앞머리에 약간의 흰색 염색을 하고, 내 얼굴에 어울리지 않는 2대 8 가르마를 탔더니, 아주 쪼끔 더 나이 들어 보인다.

드디어 제자 결혼식이 시작되었다. 혼인서약을 읽고, 성혼선언을 하고, 좌중을 여유 있게 둘러보며 주례사를 줄줄 외워 나갔다. 젊은 초보 주례사의 당찬 목소리가 식장에 쩌렁쩌렁 울려 퍼졌다. 이후 2006년 봄. 제자 부부가 돌쟁이 아기를 안고 셋이 되어 찾아 왔다. 2012년 봄. 제자 부부는 초등학교 입학하는 아이와 함께 다시 나를 찾았다.

김용우 남양주 월문초 교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