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승의 날 특집-선생님 이야기] 낙서(樂書)

6년 전 출산 및 육아휴직으로 인해 학교를 떠나 있던 적이 있다. 어느덧 주변에서 나를 향한 호칭은 ‘선생님’이 아닌 ‘애기엄마’가 되어 있었다. 생애 처음 듣는 이름이 조금은 어색하였고, 조금은 재미있었지만, 한편으로는 선생님이라고 듣지 못하는 게 서운하다는 생각이 들 때쯤이었다.

관리비 청구서 정도만 꽂혀 있곤 하던 우편함에 우표도 없는 편지와 초콜릿이 기다리고 있었다. 그림으로 진로를 선택했던 남자 아이가 꾹꾹 눌러쓴 글은, ‘처음이었어요. 교과서에 낙서를 할 때면 늘 혼나기만 했었는데, 낙서라해서 미안하다고 말한 선생님이....’라고 시작하고 있었다. 함께 한 고등학교 2학년, 1년간의 고마움과 그리움을 담은 편지를 천천히 읽으며, 사실 많이 부끄러웠다. 다들 문제집 풀던 아침자습 시간에 선생님 눈치 보며 연습장에 그림 그리던 그 녀석에게 내가 해줄 수 있는 것이 딱히 없어서 그냥 허락을 했던 것뿐인데, 그걸 고마운 기억으로 간직하고 있을 줄은 생각도 못했다.

발령받은 지 겨우 2년차에 의욕만 넘쳤지 아이들 마음을 헤아리는, 아니 헤아려야 하는 지도 몰랐던 그 때의 나를 생각하면 지금도 얼굴이 붉어지는데 그런 새내기 교사가 우연히 잘한 걸 칭찬해주는 학생이라니.

올해 초, 청년이 된 그에게서 연락이 왔다. 복직하고 내내 나에게 어떤 선생님이 되어야 하는지 가르침이 되는 그 편지를 남겨놓고서는 그런 자기를 기억할지 모르겠지만이라고 말을 꺼내고 있다. 이번에는 그 친구의 편지가 나에게 얼마나 고마운 일이었는지 나누는 대화를 했다.

생각해보니 내가 중학교 2학년이던 때, 질문에 답을 제대로 못해 즉흥적으로 지어냈는데 창의적인 답변이라고 존중해주셨던 국어 선생님께 감사의 인사를 못한 게 떠오른다. 그 선생님 덕택에 지금 나 역시 이렇게 가르치는 일을 하고 있음을 용기 내어 한번 감사드려야겠다.

김혜빈 시흥 장곡중 교사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