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해기원, 매매가 수백억 원 견해차
年 20억 금융비용에 민간매각도 고려
정부의 공공기관 지방이전 방침에 따라 ‘한국해양과학기술’이 안산에서 부산으로 이전한지 3년째이지만 해양기술원과 안산시가 부지 매각 비용을 놓고 300억원에 달하는 입장차이를 보이고 있다. 게다가 해양기술원은 최근 민간에서 관심을 나타내고 있어 예상보다 매각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는 입장이어서 협상에 난항이 예상된다.
6일 안산시와 해양기술원 등에 따르면 상록구 해안로 787 일대 9만2천930㎡ 규모의 해양기술원은 지난 2006년 정부의 수도권에 소재한 공공기관의 지방이전 계획 수립 및 발표에 따라 매각 절차에 들어갔다.
이어 지난 2009년 해양기술원의 지방이전 계획이 승인됨에 따라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한국자산관리공사에서 감정가 1천86억 원에 매각을 추진해 왔으나 지금까지 새주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
해양기술원은 지난 2017년 12월 부산의 신청사로 이전한 뒤 안산의 부지 매각을 놓고 해수부 및 안산시 등과 예정가격 조정 문제 등을 놓고 수차례에 걸쳐 협의를 실시했으나 큰 가격 차이로 부지 매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해양기술원은 신청사 건립 및 이전에 따른 국비 차입금 917억 원과 자체부담금 49억 원 등을 포함해 966억 원을 최저 매각비용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동안 이전에 따른 금용비용을 정부에서 부담해왔으나 올해부터는 자체적으로 매년 20억 원이 넘는 금융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해양기술원은 민간 매각에 대해서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안산는 신축된지 35년 이상된 해양기술원 건물 대부분은 특화된 연구시설 건물로 재사용이 어려우며 이를 철거할 경우 폐기물 처리비용 등에 80억 원 가량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 매입 비용을 최고 700억 원으로 제시하는 상황이다. 특히 해양기술원 지방이전으로 지역경제 할성화에도 나쁜 영향을 주고 있을 뿐 아니라 수년째 주인을 찾지 못한 채 해양기술원 부지가 방치돼 있어 주변 개발사업으로 인해 낙후된 상태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해양기술원 관계자는 “현재 민간에서 관심을 보이고 있어 생각보다 매각이 빠르게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며 “연구시설인 용도 또한 변경이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으며, 금융비용 발생으로 인해 더이상 부지 매각을 미룰 수 없는 상태”라고 말했다.
안산=구재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