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UE] 제 21대 총선, 1년 앞으로…

‘국정 안정론’ VS ‘정권 심판론’ 문재인 정부 ‘중간평가’ 시험대

2016년 3월 24일 제20대 국회의원선거 후보자등록 첫날인 24일 수원 권선구 선거관리위원회 접수처에서 수원(을)에 출마할 한 후보가 후보자등록을 하고 있다. 등록을 마친 후보들은 31일부터 본격적인 선거전에 돌입했다.
2016년 3월 24일 제20대 국회의원선거 후보자등록 첫날인 24일 수원 권선구 선거관리위원회 접수처에서 수원(을)에 출마할 한 후보가 후보자등록을 하고 있다. 등록을 마친 후보들은 31일부터 본격적인 선거전에 돌입했다.

2020년 4월 15일 치러지는 제 21대 총선이 1년 앞으로 다가왔다. 내년 총선은 문재인 정부 후반기 정국 주도권의 향배를 좌우하고, 승리한 쪽은 오는 2022년 20대 대선의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여야의 불꽃 튀는 대결이 예상된다. 특히 20대 총선에서 무려 8곳의 선거구가 늘어났던 경기도는 이번 21대 총선에서도 일부 선거구 분구가 예상되면서 최대 승부처가 될 전망이다. 본보는 21대 총선을 1년 앞두고 전망과 변수, 각 당의 선거전략 등을 분석한다. 

지난 2016년 20대 총선에서 국회는 16년 만에 ‘여소야대’가 만들어졌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단 1석 차이(123석 대 122석)로 당시 여당인 새누리당(자유한국당 전신)을 누르고 1당을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다. 민주당은 다음해인 2017년에는 ‘5·9 대선’을 통해 문재인 대통령을 탄생시키면서 정권도 차지했다.

내년 총선은 문재인 정부 3년차에 치르는 관계로 중간평가 성격을 가지고 있다. 민주당은 ‘국정 안정론’을 내세워 명실공히 ‘여대야소’로의 탈바꿈을 기대한다. 반면 20대 총선에서 패한 지 1년 만에 정권마저 빼앗긴 한국당은 ‘정권 심판론’을 강조하며 1당을 차지, 2022년 정권탈환의 교두보로 삼겠다는 자세여서 치열한 한 판 승부가 불가피하다.

2016년 3월 31일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공식 선거운동 첫날인 31일 오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서 더불어민주당 선거운동원들이 흥겨운 율동을 선보이며 유세전을 벌이고 있다.
2016년 3월 31일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공식 선거운동 첫날인 31일 오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서 더불어민주당 선거운동원들이 흥겨운 율동을 선보이며 유세전을 벌이고 있다.

내년 총선의 최대 변수는 단연 야당발(發) ‘보수통합론’과 ‘제3지대론’ 등 정계개편설이다. 정계개편은 선거 구도를 단숨에 바꿀 수 있다는 점에서 여야 모두 예의주시하고 있다. 또한 연동형 비례대표제 등 선거제 개혁과 선거구 획정도 선거 판세를 흔들 변수로 여겨진다. 여야 4당(민주당,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 정의당)과 제1야당 한국당이 충돌하고 있는 연동형 비례대표제가 도입될 경우 일부 지역구 감소, 비례대표 증가로 이어지면서 정치권의 지형이 크게 달라질 전망이다.

특히 내년 총선에서 최대 승부처는 수도권, 특히 전국 최다 선거구(60곳)를 보유한 경기도라고 할 수 있다. 지속적인 인구 증가로 총선 때마다 선거구가 늘어난 경기도는 지난 20대 총선에서 무려 8곳의 선거구가 늘어났고 증가 지역 대부분을 민주당이 차지하면서 1당으로 올라서는데 크게 기여했다.

2016년 4월 10일 4·13총선 사전투표 이틀째인 9일 오전 인천시 영종도 인천공항 3층 출국장에 설치된 사전투표소에서 해외 여행객들이 출국에 앞서 투표를 하고 있다.
2016년 4월 10일 4·13총선 사전투표 이틀째인 9일 오전 인천시 영종도 인천공항 3층 출국장에 설치된 사전투표소에서 해외 여행객들이 출국에 앞서 투표를 하고 있다.

19대 총선에서 새누리당과 민주당은 경기도에서 각각 21명과 29명을 당선시켜 8명 차이를 보였지만 8곳이 늘어난 20대에는 각각 19명과 40명 당선으로 두 배 이상의 차이로 크게 벌어졌다. 내년 21대 총선에서도 일부 선거구의 분구 혹은 조정 가능성이 나오고 있다. 현재는 민주당 37명, 한국당 16명, 바른미래당 4명, 정의당 1명, 무소속 2명이다.

21대 총선 화두와 관련, 여당은 ‘국정 안정론’과 함께 ‘한반도 평화’, ‘적폐 청산’을 강조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야당은 ‘정권 심판론’과 함께 ‘경제 실정’을 내세울 것으로 분석된다. 어느 쪽이 유권자들의 표심을 자극할지 관심을 끄는 가운데 내년 총선 결과는 문재인 대통령의 집권 후반기 운명을 결정할 뿐만 아니라 또한 황교안 대표와 이낙연 국무총리, 김부겸 의원(전 행정안전부 장관), 오세훈 전 서울시장 등 대권 잠룡의 향후 행보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2016년 4월 11일 4·13 총선 안산지역 지원유세에 나선 당시 국민의당 안철수 공동대표가 단원을 부좌현, 상록갑 박주원 후보와 함께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2016년 4월 11일 4·13 총선 안산지역 지원유세에 나선 당시 국민의당 안철수 공동대표가 단원을 부좌현, 상록갑 박주원 후보와 함께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글_김재민기자 사진_경기일보 DB 제공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