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 제주도 관계자 "제주도 것 일부 확인"...내주 현장 방문
평택항으로 반송된 필리핀 수출 폐기물과 관련, 수출품에 대한 환경부의 안일한 대처가 사태를 키웠다는 지적(본보 2월 11일자 6면)이 일고 있는 가운데 일부 반송된 폐기물 원산지가 제주시였던 사실이 새롭게 확인되면서 폐기물 처리가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당초 폐기물을 시 단독으로 행정대집행을 하려던 시는 제주시와 공동으로 제주산 쓰레기 여부 확인, 처리방법, 처리비용 분담 등 협의를 통해 처리한다는 방침으로 돌아섰다.
24일 평택시에 따르면 2017년 필리핀 세부항에서 반송돼 평택항에 하역된 폐기물은 제주도산 쓰레기로 2018년 필리핀 민다나오항으로 재수출했다가 지난해 12월부터 올 2월까지 3차례에 걸쳐 평택항에 재반입됐다. 특히 지난 2월 3일 재반입된 1천211t(컨테이너 51개) 분량의 폐기물과 다시 수출하기 위해 평택항에 적재해 놓은 3천455t 등 총 4천666t의 폐기물 일부가 제주도산인 것으로 확인됐다.
시는 평택항에 반송된 폐기물이 제주도에서 발생한 것인지 최종 확인을 거쳐 행정대집행 주체가 누구인지, 폐기물은 누가 처리해야 하는지, 처리비용은 분담 등을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시는 지난 20일 제주시로 공문을 보내 필리핀에서 반송된 폐기물이 제주시에서 나온 것이 맞는지 확인 등을 요청하는 공문을 발송, 이에 제주시는 내주에 관련 공무원이 평택항을 방문키로 약속했다.
시는 지난 5일 평택시 포승읍 소재 폐기물 수출 업체인 A사에 22일까지 평택항에 하역돼 있는 1천211t을 포함 총 4천666t의 폐기물을 소각 등의 방법으로 처리하라는 행정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24일 현재 A사는 폐기물을 처리하지 않아 평택시는 입찰을 통해 처리업체가 선정되는 대로 행정대집행을 할 예정이었다.
시 관계자는 “반입된 폐기물 일부가 제주시에서 나온 것이 확인된 만큼 제주시와의 확인과 협의는 불가피하다”면서 “그러나 이것 때문에 평택항에 적재된 폐기물 처리가 늦어지는 것은 아니다”고 밝혔다.
평택=최해영ㆍ박명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