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동구 대외적으로 맞춤형 복지정책 인정 받아

인천 남동구가 저소득 계층의 개인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복지정책’을 펼치고 있다.

남동구는 한정돼 있는 재원으로 어려움에 부닥친 주민이 최대의 정책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보편적 복지’보단, 개개인이 처한 현실에 맞춘 정책시행에 집중해오고 있다고 24일 밝혔다.

이를 위해 구는 우선 지난달부터 지역 내 기초생활보장 수급자나 차상위 계층이 불의의 사고를 당했을 경우 경제적 부담을 줄여주고자 ‘공익형 상해보험’ 가입 지원사업을 시행 중이다.

‘만 원의 행복보험’으로 불리는 이 사업은 불의의 사고 발생 시 입원비, 수술비, 유족위로금 등을 지원해주는 제도다.

보험 가입 후 재해를 입어 사망했을 경우 2천만원의 보험료가 지급된다.

재해로 인해 수술을 받았을 때는 10만원에서 최대 100만원까지 지급을 받게 된다.

보험 가입 시에는 개인 부담 없이 전액 무료로 추진한다.

어려운 주민들의 주거생활 안정을 위한 ‘사랑의 이사지원 사업’도 맞춤형 복지사업으로 꼽힌다.

이 사업은 국민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 계층 등이 이사할 경우 100만원의 이사비용을 지원하는 제도다.

남동구의 취약계층 대상 복지정책은 대외적으로도 인정받고 있다.

구는 최근 산업통상자원부가 후원하는 ‘제13회 대한민국 서비스 만족 대상’ 복지 분야에서 대상을 받았다.

인천 최초로 민간 자원을 활용한 ‘복지 사각지대 생계비 지원’ 제도를 통해 보호받지 못하는 사각지대 주민의 삶을 지키는 데 앞장선 점이 높게 평가됐다.

이강호 남동구청장은 “맞춤형 정책들을 더 많이 마련해 정책의 온기가 사회 전반에 골고루 퍼지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재홍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