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 5도 정주여건 개선 329억 투자”

행안부, 노후주택·소연평항 방파제 연장 등 24개 사업 추진

행정안전부가 서해 5도의 정주 여건 개선과 지역주민 소득증대 등 24개 사업에 329억원을 투자한다.

6일 행안부에 따르면 ‘서해 5도 종합발전계획’에 따라 2019년에 329억원(국비 249억원·지방비 73억원·민자 7억원)을 투입한다.

올해 사업 계획은 ‘주민 생활안정 및 삶의 질 향상’, ‘쾌적하고 살기 좋은 주거환경 조성’, ‘편리한 해상교통 및 기반시설 확충’, ‘경쟁력 있는 일자리 및 소득창출 기반 구축’, ‘주민안전 및 대피시설 설치’ 등이다.

가장 많은 예산이 들어가는 분야는 해상교통과 기반시설 확충이다.

행안부는 전체 예산의 52%인 166억원을 투입, 소연평항 방파제 연장과 대연평도·대청도의 해수담수화 시설 확충 등 8개 사업을 추진한다.

주거안정과 삶의 질 분야(정주생활지원금, 해상운송비 지원 등 5개 사업)에는 76억원, 쾌적하고 살기 좋은 주거환경 조성(노후주택 개량, 슬레이트 지붕 환경개선 2개 사업)에 33억원이 들어간다.

경쟁력 있는 일자리 및 소득창출 기반 구축과, 주민안전 및 대피시설 설치에는 각 30억원, 24억원씩 투입한다.

2011년부터 시작한 서해 5도 종합발전계획은 남북 군사대치로 어려움을 겪은 서해 5도 주민이 안전하게 거주할 수 있도록 2020년까지 78개 사업에 9천109억원(국비 4천599억원·지방비 2천68억원·민자 2천442억원)을 투자하는 것이다.

정부는 이 사업을 통해 30년 이상 된 노후주택 927가구를 정비했으며, 노후 대피시설 44곳을 비상사태 시 10일 이상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는 현대화 시설로 보강했다.

또 주민의 거주 의지를 높이고자 기초생활을 보장하고 정주생활지원금, 생필품의 해상운송비, 교육비 등을 지원하고 있다.

그 결과 정주인구는 2010년 8천348명에서 2018년 9천259명으로 11% 늘었고, 관광객은 같은 기간 9만6천618명에서 15만2천843명으로 58% 증가했다.

윤종인 행정안전부 차관은 “그동안 국가안보상의 필요와 지리적 특수성으로 서해 5도 주민이 큰 피해를 감수하며 살고 있다”며 “더 많은 사람이 살고 싶고, 가고 싶은 서해 5도가 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함께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2020년이면 서해 5도 종합발전계획 1단계 사업이 끝난다”며 “앞으로 정주생활지원금 지급과 노후주택 개량 사업 등 종전 추진되는 사업이 지속할 수 있도록 2단계 사업 추진을 적극적으로 건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승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