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시환승제’ 사실상 없던일로… 인천시, 실효성·재원 부족 등 부딪혀 백지화 전망

인천시가 추진 중인 택시환승제 도입이 실효성과 재원 부족 등에 부딪혀 사실상 백지화할 전망이다.

4일 시에 따르면 당초 2018년 10월부터 본격적으로 도입하려던 택시환승제를 최근 장기 과제로 분류했다.

택시환승제가 시행 중인 부산시에서 실효성 문제가 지적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부산은 선불교통카드에 한해 택시환승제를 적용하고 있지만, 선불교통카드 이용자가 없어 실효성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그렇다고 인천시가 이용자를 늘리기 위해 선·후불교통카드로 사업을 확대하는 것도 무리다.

시가 후불교통카드까지 사업을 확대하면 사업 예산을 감당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또 재정 지원이 1번 이뤄지면 이후에 사업을 중단하는 것은 어렵다는 점도 선뜻 사업 확대를 결정할 수 없는 이유다.

이에 따라 시는 택시환승제 자체를 전면적으로 재검토할 계획이다.

특히 시는 인천도시철도 1·2호선 이용 고객을 택시환승 대상으로 정했지만, 인천에는 수인선, 국철 제1경인선, 서울도시철도 7호선 등 다른 노선이 많아 사업 추진 과정에서 혼란이 예상되는 등 지하철 문제에서 자유로운 부산보다 사업 추진이 어렵다는 점을 주목하고 있다.

시는 이와 함께 택시 요금 500원을 감면한다고 해서 시민에게 다가오는 효과가 크지 않은 점도 사업 추진을 가로막는 요인으로 보고 있다.

이처럼 택시환승제 제도의 근본적인 문제 해결이 어려운 만큼 백지화 절차를 밝게 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된다.

실례로 시는 2018년에 관련 예산 2019년도 본예산에 택시환승제 관련 예산을 반영하지 않았다. 또 앞으로도 택시환승제 예산을 반영할 계획이 없다는 게 시의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택시환승제가 예산 검토 없이 갑자기 추진된 측면이 있다”며 “예산 부담 등 사업 추진 과정에서 많은 문제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택시환승제를 추진할 계획은 없다. 앞으로도 많은 시간을 두고 사업 재검토 후 사업 추진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의 택시환승제는 인천도시철도 1·2호선과 시내버스를 이용한 시민이 30분 이내에 택시를 이용하면 요금 500원을 감면해주는 사업이다.

이승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