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김포공항 10년 후 ‘포화 상태’
‘수도권 제3의 공항’ 경기 남부에 주목
국내 인구의 절반 이상이 집중된 수도권의 항공 수요를 전담하고 있는 인천국제공항과 김포공항이 10년 후 ‘포화 상태’에 빠질 것으로 예측되면서 시급히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인천ㆍ김포공항이 모두 수도권 북서지역에 위치해 있어 1천만 명에 달하는 인구가 밀집돼 있는 경기남부지역이 항공 수요 분산을 위한 ‘수도권 제3의 공항’ 입지로 주목되고 있다.
국토교통부와 한국항공협회 등에 따르면 인천국제공항과 김포공항은 오는 2030년을 기점으로 여객 수요가 공항의 공급 수요를 초과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국토교통부의 ‘제5차 공항개발 중장기 종합계획(2015~2019)’의 수요 및 공급 예측치를 기준으로 지난 2016~2017년 실제 공항별 운송실적을 적용한 결과, 김포공항은 2030년부터 공항의 용량(3천500만 명)보다 여객 수요(3천700만 명)가 많을 것으로 분석됐다. 인천국제공항 역시 같은 기간 수요(1억1천500만 명)가 용량(1억 명)을 초과할 전망이다. 실제 인천국제공항의 여객 이용자 수는 지난 2015년 4천800만여 명에서 지난해 6천800만여 명까지 41%가량 늘어나는 등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처럼 인천ㆍ김포공항의 포화가 다가오면서 늘어나는 항공 수요를 분산할 방안을 시급히 논의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에 국토교통부가 오는 5월 수립할 예정인 ‘제6차 공항개발 중장기 종합계획(2021~2025년)’에 수도권 신공항 계획이 포함돼 이제라도 속도감 있게 신공항 논의가 진행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더욱이 기준 없이 난립한 수도권 외 지역의 13개 공항 중 10곳이 만성 적자에 시달리면서 이들 공항의 최근 5년간 누적 적자금액이 3천500억여 원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최근 새만금 국제공항 사업을 예비타당성 면제 대상에 포함하는 등 또다시 지방공항 설립을 추진하고 있어, 공항 수는 물론 이동권에서조차 ‘수도권 역차별’이 심각하다는 지적이다. 국내에는 총 15곳의 공항(국제공항 8곳·국내공항 7곳)이 운영 중인데 수도권에 있는 인천국제공항과 김포공항 2곳을 제외한 지방공항의 수는 13곳으로, 이들 13개 지방공항 가운데 10곳이 만성 적자에 시달리고 있다.
한국공항공사의 최근 3년간(2015~2017년) 수도권 외 지역 공항 운영현황을 보면 김해·제주·대구 등 3곳의 공항을 제외한 모든 지방공항이 적자를 기록했다. 이 3곳 중 하나인 대구공항도 2015년까지 적자를 기록하다 2016년에서야 소폭 흑자로 돌아선 것으로 확인됐다. 여수공항(-364억 원), 무안공항(-352억 원), 양양공항(-298억 원), 포항공항(-283억 원) 등도 같은 기간 수백억 원대의 적자를 기록했다. 이들 10개 지방공항(김해·제주·대구 등 제외)의 최근 5년간 누적 적자금액은 3천534억 원에 달한다.
이런 가운데 최근 문재인 정부가 예비타당성 면제 대상에 전북의 새만금 국제공항 사업을 포함, 적자가 불 보듯 뻔한 지방공항 신설에 나서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이와 함께 부산 가덕도 및 대구 신공항도 논의 선상에 올랐다. 특히 오는 2030년을 기점으로 인천·김포공항의 포화가 예상되면서 수도권 항공 수요를 분산해야 함에도 지방공항 설립을 추진, 정부가 또다시 수도권 주민을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엄경영 시대정신연구소장은 “신공항 설립 시 수요가 부족해 만성 적자에 시달리는 지방보다 인구와 인프라 등이 집중돼 있는 경기남부권이 우선적으로 검토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글_이호준ㆍ채태병기자 사진_김시범기자·경기일보 DB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