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UE] 경기도 2019 경제 로드맵 공개

일자리 등 양적 팽창과 함께 동북부 균형발전 함께 잡는다

올해 경기도 경제 로드맵이 공개됐다. 도는 일자리ㆍ도시계획ㆍSOC 등에서의 양적 팽창뿐만 아니라 동북부 균형발전을 통한 ‘살기 좋은 경기도’를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도는 1월 9일 안산시 상록구청에서 ‘재정운영 추진상황 보고회’를 개최했다. 회의는 윤종인 행정안전부 차관 주재로 정부 관계자와 도ㆍ안산시의 간부 직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정부는 극심한 경제 여건 속에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공유ㆍ소통하기 위해 이번 자리를 마련했다.

우선 도는 중점 추진사업으로 공공분야 일자리 창출을 지목했다. 이에 따라 607개 과제를 수행, 44만 9천여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기로 했다. 이중 공공 및 공익적 민간 일자리가 11만 3천여 개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도는 주요 강조사항으로 ‘일자리 정책 마켓’, 경기도일자리재단의 기능 강화 등을 거론했다. 이어 지역 활력을 회복하기 위해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예산을 조기 집행한다. 도는 1분기 내 올해 예산 1천170억여 원 중 587억 원(50%)을 투입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도내 17개소 사업이 탄력을 얻을 전망이다. 아울러 도는 5년간 45개소 이상의 사업지를 선정 받기 위해 특별회계도 330억 원 확보했다고 밝혔다.이와 함께 동북부 균형발전 부분도 눈길을 끌었다. 도는 올해 생활 SOC 사업을 208개(총 7천775억 원) 펼치는 가운데 사업진행시 동북부 지역의 배려를 강조한다.

아울러 민간사업자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산업단지 조성이 줄 잇는 남부와 달리 사업성 저하 등으로 외면받는 북부지역 산단 조성을 위해서도 적극 움직인다. 도내 산단 14만 4천여㎡ 중 북부지역은 1만 8천여㎡이며, 전체 12%에 불과하다. 도는 북부처럼 낙후지역이더라도 사업 타당성을 원활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유권해석 협조를 요청했다.

끝으로 남북 화해 분위기 및 4차산업 혁명에 선제로 대응하기 위해 북부 테크노밸리(TV) 조성에 속도를 높이기로 했다. 북부지역 일산TV, 양주TV, 구리·남양주TV 등은 중첩규제·낙후된 여건으로 인해 타당성 확보가 불투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도는 균형발전이라는 대업을 달성하기 위해 타당성 조사 및 중앙투자심사 통과 협조를 구하기로 했다. 이밖에 노동시장 경색으로 저소득층·노인이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측되는 만큼 복지 지원 강화도 논의됐다.

윤종인 차관은 “올겨울 유난히 추운 것 같다. 대내외 경제 여건이 녹록지 않다”며 “문재인 대통령도 일자리는 지자체 자율성 강화로 달성하겠다고 말했다. 정부와 지자체가 힘을 모아 경제를 살리자”고 제안했다.

도 관계자는 “17개 시·도 중 경기도에서 첫 번째 보고회가 열렸다. 경기지역 경제가 나라 살림에 미치는 영향력을 말하는 것”이라며 “이재명 도지사가 여러 차례 발언했듯이 올해 경기도는 경제 살리기에 총력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보고회 후 윤 차관 등은 한대앞역 주변 상점가를 순회하며 소상공인의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시간도 가졌다. 이날 상인들은 한대앞역 상점가 문화시설 설치에 대한 지원을 주문했다. 한대앞역 주변은 전철역 인근으로 교통 여건이 조성됐고, 관내 대학교 학생 등 고정 고객이 확보됐고, 상점가도 형성됐다. 그러나 문화체험공간이 없어서 단순 방문객만 통행, 다양한 소비활동이 전개되지 못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글_여승구기자 사진_조주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