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안전본부, 전문·외부 인력 충원 추진

인천시가 시민안전을 위한 개방형 소방·방재 전문 인력 확충을 추진한다.

시는 재난 예방과 사고대책 책임 부서인 시민안전본부의 소방·방재 전문 인력 비중을 현재 10%에서 40%까지 높이고자 개방형 인력을 보충한다고 20일 밝혔다.

시민안전본부 조직(2월1일자 기준)은 6개과 114명 규모이지만 방재안전 직렬은 12명(10.5%)에 불과하고 나머지 90%는 일반 행정과 토목·건축·전기직 등이다.

본부는 재난 예방과 유사시 현장을 경험한 전문 인력이 신속한 안전 매뉴얼 기획과, 사후 처리 대책 등을 세워야 하지만 팀장급(5급) 이상 외부 전문인력은 군인 출신 단 1명에 불과하다.

중앙부처인 행정안전본부(이하 행안부)가 일반 행정 등 기타직렬과 안전 관련 외부·전문 인력을 6:4 비율로 배치한 것과는 차이가 크다.

또 서울시와 경기도도 재난 관리 부서의 외부·전문 인력을 영입하며, 행안부와 같은 비율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천시도 소방과 안전 분야에 실무 경험이 많은 외부 전문가 영입과 안전 방재 공무원 수를 늘리는 방법 등으로 총원 대비 40% 수준까지 높일 계획이다.

이와 함께 본부 소속 공무원의 장기근속을 통해 개방형 전문인력의 노하우를 습득하는 자체적인 안전 전문가 양성 방안을 병행한다.

우선 본부 내 장기근속 공무원에 대한 승진 가점 부여 등 인센티브도 마련할 계획이다.

한태일 시 시민안전본부장은 “소방과 안전 등에 실무 경험이 있는 20~30년 경력자를 팀장급(5급)으로 채용하고 안전방재 직렬 숫자도 늘릴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시는 2월 열리는 252회 인천시의회 기획행정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외부 전문가 영입 등을 포함한 계획안을 보고할 예정이다.

 

주재홍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