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남춘 시장 “인천시 우선 지정될 것”… 산업부 2월 중 선정
박남춘 인천시장이 9일 산업통상자원부가 추진하는 스마트산업단지 시범지구에 인천 남동산단 선정이 확실시된다고 밝혔다.
박 시장은 이날 송도 쉐라톤 호텔에서 열린 새얼아침대화에서 “(산업부가)아직 발표하지는 않았지만, 인천시를 우선으로 지정할 것이다. 남동산단을 해준다고 (산업부)장관에게 얘기를 들었다”고 말했다.
시는 남동산단이 스마트산단으로 지정되면 남동산단 구조고도화 사업이 가속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시가 2022년까지 1천개로 확대하려는 스마트 공장 보급도 탄력을 받을 수 있다.
이와 함께 남동산단에 바이오, 의료 업체를 유치, 송도에 있는 삼성 바이오로지스·셀트리온 등 바이오 관련 앵커 기업과 연계하는 B-MeC 벨트(Bio-Medical engineering-Creative Belt) 조성 사업과도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박 시장은 “공장의 자동화가 이뤄지면 고용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지만, 기업이 성장하면서 오히려 고용이 늘어난다”며 “앞으로 이런 선순환 방향으로 가야 한다. 이를 위해 인천이 스마트산단으로 지정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스마트산단 지정을 놓고 경쟁하는 지방자치단체는 경기도 반월·시화 공단, 울산시 미포산단, 경상남도 창원산단 등인 것으로 알려졌다.
스마트산업단지 시범지구 사업은 노후화된 산단의 구조고도화를 통해 좋은 일자리 만들기와 제조 혁신을 이룩하는 것이 목적이다.
스마트산단에는 3D프린트,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 정보통신기술(ICT) 도입을 위한 예산 등이 지원된다. 이 밖에도 근로자의 생활 여건 개선 지원, 신산업 육성을 위한 규제 개선 등 다양한 지원이 이뤄질 전망이다. 이와 관련 중앙정부는 2019년 예산에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예산’ 1조2천억여원을 배정했다.
산업부는 2019년까지 국가산업단지 2곳을 선도 스마트산단으로 선정할 계획이며 2022년까지 10개의 스마트산단을 조성하는 것이 목표다.
산업부 관계자는 “아직 스마트산단 시범 지정을 어느 곳에 할 것인지 정해진 것은 없다”며 “인천 등 전국에 있는 국가산단의 여건을 분석해 시범지구 선정을 진행할 계획이며 2월 중에는 선정이 이뤄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남동산단은 1980년대 제조업 중심으로 조성됐다. 하지만 산단 지정 이후 오랜 약 30년이 지나 기반 인프라 시설 등이 노후화돼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