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도, 강도 등의 행위는 엄연히 비도덕적인 행위지만 영화판에서는 이를 <캐치 미 이프 유 캔>, <이탈리안 잡> 등의 명작으로 매력넘치게 표현한 바 있다.
이 같은 명작을 잇는 신작 영화 <빌리어네어 보이즈클럽>이 오는 10일 국내 극장가에 상륙해 범죄물 마니아들의 기대를 모을 예정이다.
이번 작품은 지난 1980년대에 실제로 일어난 캘리포니아 출신의 친목단체 빌리어네어 보이즈 클럽의 청소년들의 폰지 사기 및 살인 이야기를 기반으로 제작돼 더욱 눈길을 모은다.
투자 사기 수법의 하나인 폰지 사기는 실제 아무런 이윤 창출 없이 투자자들이 투자한 돈을 이용해 투자자들에게 수익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아랫돌 빼어 윗돌 괴는 식으로 투자자를 속이는 방법이다.
훈훈한 외모, 명석한 두뇌, 뛰어난 입담, 화려한 인맥을 갖춘 두 청년 조 헌트(안셀 엘고트)와 딘 카니(태런 애저튼)은 비버리힐스의 억만장자들을 매혹해 금융사기극을 벌인다.
조는 금융 전문가로서, 딘은 테니스 프로선수로서 활동하며 빌리어네어 보이즈클럽을 결성하고 하버드 웨스트레이크 학교에 재학 중인 억만장자의 자녀들에게 입김을 넣어 자신들에게 투자를 하도록 권한다.
그러던 와중 도박가이자 클럽의 가장 큰 손인 론 레빈(케빈 스페이시)의 투자가 중간에 꼬이면서 긴장감이 고조된다.
실제 일어난 사건에서는 헌트가 레빈을 총으로 쏴 살해한 혐의로 재판정에 서게 되고 이 과정에서 거부인 헤다얏 에슬라미니아의 재산 350만 달러(한화 약 40억 원)를 노리고 그를 살해한 5명도 법의 심판을 받게 된다.
지난 1987년 TV 드라마로 한차례 방영 된 이후 약 30여년 후 스크린에 서게 된 이번 작품은 이 같은 치밀한 범죄를 브라운관과 달리 어떻게 표현해냈는지 지켜보는 것도 좋을 전망이다.
아울러 이번 작품은 지난 2010년부터 제작에 들어가 8년이 지난 지난해 개봉해 관심을 끌었지만 개봉 1년을 앞두고 론 레빈 역을 맡은 케빈 스페이시가 동성 청소년 성추행 사건과 관련해 미투 폭로를 당하며 흥행에 찬물을 끼얹은 바 있다.
미국에서 개봉 첫 날 수익이 126달러(한화 약 15만 원)에 그친 이번 작품이 다음 주 우리나라에선 ‘케빈 스페이시 악재’ 를 극복하고 박스 오피스 정상에 오를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15세 관람가
권오탁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