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재정건전성 강화와 해양친수도시 및 시민안전도시 조성 중심의 대폭적인 조직개편을 단행한다.
시는 재정기획관을 상설화하고 해양친수과와 재난상황과를 신설하는 내용의 조직개편안을 입법예고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조직 개편의 가장 큰 특징은 임시기구였던 재정기획관을 기획조정실장의 보좌기구로 편제, 상시기구로 전환하는 것이다. 현행 조례상 재정기획관의 운영기한은 12월 31일까지로 2019년부터는 소멸하기 때문이다.
시는 재정기획관 직제가 인천의 재정건전화에 큰 도움이 됐다는 내부 평가를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2014년 13조1685억원이던 인천시 총부채는 지난해 10조613억원으로 무려 3조1072억원이 줄었다. 또 시 본청의 예산 대비 채무 비율도 2014년 37.5%, 2015년 33.4%, 2016년 30.4%, 2017년 21.9%, 2018년 20.1%로 계속 줄어 10%대 채무비율을 눈앞에 두고 있다.
재정기획관은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 경기장을 건설하며 발생한 채무를 관리하고자 만들어진 조직이다. 현재 재정기획관 밑에는 예산담당관, 재정관리담당관, 세정담당관, 납세협력담당관, 회계담당관, 재산관리담당관 등이 편제돼 인천의 재정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관리하고 있다.
이와 함께 시는 해양친수도시 조성과 300만 시민의 안전을 강화하고자 해양친수과와 재난상황과를 신설할 계획이다. 특히 해양친수도시 조성은 박남춘 인천시장의 민선 7기 시정운영계획에 포함된 중점 시책이다.
해양친수과는 해양친수 및 연안 사업을 총괄 기획하고 친수도시 조성에 대한 타당성 조사 및 적성평가를 총괄한다.
재난상황과는 재난·재해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분석하고 재난·재해 및 기상특보 등을 수집하는 등 재난 상황 발생 시 시의 신속한 초동조치 및 관계기관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역할을 진행한다.
이와 함께 시는 데이터 기반 강화를 위해 정보화 분야를 재편한다.
시는 원도심스마트정보담당관을 스마트도시담당관으로 정보통신보안담당관을 데이터혁신담당관으로 변경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정보화 담당관은 정보보호 및 사물인터넷 전략을 세우는 데 집중하고 데이터혁신담당관은 다양한 통계 업무를 맡는다는 게 시의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 조직개편안으로 재정기획관을 상시기구로 편제하고, 활력 넘치는 해양친수도시 조성과 300만 시민안전강화 및 데이터 기반 행정 체계 구축하겠다”며 “또 조례 폐지 등으로 업무가 축소된 부서를 조정했다”고 말했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