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사 부른 ‘개인 체험학습’ 사실상 ‘방치학습’… 뒷북대책

강릉 펜션서 수능 끝낸 고교생들 사망
시교육청 그동안 학교장에 관리 전가
사후관리 사각지대… 결국 비극 불러
시·도 부교육감들 이제서야 실태 조사

강릉 한 팬션에서 수능을 끝낸 고교생 10명이 숨지거나 의식을 잃은 사건이 허술한 개인 체험 학습관리가 한 요인으로 지적되자 인천시교육청이 뒤늦게 안전 대책 마련에 나섰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시교육청이 그동안 개인 체험 학습과 관련해 일선 학교장들에게 심사와 책임을 떠넘겨 왔다며 뒷북 행정이라고 지적했다.

19일 시교육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전국 시·도 부교육감은 화상 회의를 통해 개인체험 학습에 대한 실태 조사를 진행하고 학생들끼리 가는 개인 체험 학습은 취소키로 결정했다.

통상 개인체험학습은 학생과 학부모가 신청하면 학교장의 허가를 받고 교외체험학습으로 인정해 수업을 이수한 것으로 인정해주는 제도로 1년에 최대 20일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사전에 신청서를 내고 체험학습 후 담임 선생님에게 보고서 제출 하거나 면담을 통해 사실 확인을 하게 된다.

인천지역은 수년 전부터 학생 개개인의 ‘교외체험학습’ 지침에 따라 개인 현장체험 학습 프로그램을 진행해왔고 시교육청은 관리를 일선 학교장들에게 위임했다.

문제는 학생들의 개인 체험학습 사후 관리가 수능 이후 대학 진학 등에 관심이 집중되면서 형식적으로 이뤄진다는 점이다.

A고 교장은 “수능 이후 선생님들이 개인 체험 학습 관리까지 하기 어렵다”며 “학교 행정 공백 문제를 수차례 시교육청에 건의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는데 뒤늦게 점검에 나서고 있다”고 꼬집었다.

일부 학생들은 체험 학습의 허점을 이용하고 있다.

수능을 치른 B양은 “수능 이후 고3 교실은 시간을 보내고자 어쩔 수 없이 나오는 곳”이라며 “차라리 친구들끼리 여행이나 가자며 가짜 신청서와 보고서를 작성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개인 체험 학습에 대한 정확한 실태 조사를 통해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노현경 전 시의회 교육위원은 “체험 학습의 일부 문제에 대해 모두가 우려하고 있었지만 시교육청의 실태조사와 매뉴얼 준비가 미흡했다”며 “이번 강릉 참사를 반면교사 삼아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개인 체험 학습에 만족하는 학생과 학부모들도 많다”며 “학생들의 자율권을 최대한 보장하면서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길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