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기후산업 허브화 ‘녹색성장’…인천시 환경보전계획 수립 중간보고회

대기·수질 등 7개 분야 계획 발표
관련사업 실태조사·지원센터 설치

녹색도시 인천의 환경보전을 위해서는 수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인 종합대책이 마련돼 시행되는 등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인천시에 따르면 지난 23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환경전략컨설팅㈜에 의뢰한 5차 인천시 환경보전계획 수립 중간보고회를 열었다. 이 날 보고회에서는 지속가능발전 녹색도시 인천이라는 비전 아래 녹색기후·환경정책·대기보전·자원순환·수질환경·하수·공원녹지 등 7개 분야에 대한 인천의 목표와 세부 추진 계획이 발표됐다.

녹색기후 분야에서는 녹색기후산업 허브를 구현하고 녹색기후산업 발전을 위해 관련 실태조사와 중장기 종합계획 수립과 지원센터를 설치해야 한다는 방안이 제시됐다. 또 국제기후산업 콘퍼런스 개최와 시가 추진 중인 에코사이언스 파크의 강소특구 지정의 필요성도 강조됐다.

이와 함께 태양광, 풍력발전 등을 활용한 에너지 발전과 노후산업시설 개선 및 교체, 신재생에너지 지역 지원, 숲·생태놀이터 조성 등 분야별 기후변화 대응 종합대책 수립 방안도 있었다.

환경정책을 위해서는 환경현안 민·관 정책 간담회와 환경정책위원회를 운영하고 비영리 민간단체의 공익활동을 지원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또 자연생태서비스 기반 조성을 위해 영흥화력 민·관 공동조사단 운영, 생태 관광 등 철새와 함께하는 생태서비스 기반 조성 방안이 나왔다.

대기보전은 대기오염 배출 업소의 자율적 환경관리 체계 구축을 위한 환경관리 우수기업 지정, 기업환경 멘토링 운영, 자율점검업소 지정, 남동산단 상설환경감시단 운영 등이 강조됐고 항만·공항·농수산물 도매시장에 대해 저공해조치를 추가로 명령하고 운전학원과 항만 등에서 경유차 운행 여부를 집중 점검하는 대안도 제시됐다.

이밖에 자원순환 관련해서는 청라 소각시설 대보수를 추진하고 청라·송도에 소각·매립·재활용 등 종합처분시설 설치 등의 대책이 제시됐다.

이승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