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를 시민의 품으로… 2035년 ‘해양친수도시’ 탈바꿈

인천시, 행정부시장 단장 ‘사업TF’ 구성
해양친수공간 조성 ‘기본 밑그림’ 완성
6곳 거점 특화 세계적 해양관광벨트화
선도-친수사업·철책제거 44개 사업 추진

인천시가 2019년부터 바다를 시민의 품으로 돌려주기 위한 ‘해양친수도시 조성사업’을 본격화한다.

25일 시에 따르면 최근 행정부시장을 단장으로 하는 해양친수도시 조성사업 추진 테스크포스(TF)를 구성·운영, 해양친수공간 조성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해양친수공간 조성 기본계획은 인천 해양친수도시 조성 기본구상 용역을 기반으로 단계적으로 진행된다.

이 계획에는 박남춘 시장의 ‘인천해안선을 잇는 세계적 해양관광벨트 구축 공약’이 담겼다.

먼저 시는 2019년부터 인천공항~영종도~경인항~내항~남항~송도신도시 등 6곳의 거점을 지역 특성에 맞게 특화해 세계적 해양관광벨트를 조성하는 해양친수도시 조성사업을 1조7천억원을 투입해 진행한다.

시는 해양친수도시 조성사업을 통해 인천이 국내 대표적인 해양도시임에도 항만과 군사시설 철책에 가로막혀 바다와 관련한 문화·생태·레저 체험이 어려운 상황을 해결해 나갈 방침이다.

이와 함께 시는 6개 선도사업을 포함해 2035년까지 친수공간 29개 사업, 철책제거 15개 사업 등 총 44개 사업을 추진한다.

친수공간은 현재 추진 중인 내항 재개발사업 등 6개 사업과 2020년 선도사업으로 추진될 소래 해넘이 다리 해양데크 등 6개 사업, 2025년 시작되는 연안부두 바다 쉼터 등 6개 사업, 2030년 들어가는 북성 문학포구사업 등 6개 사업, 2035년 시행되는 소월미도 해양레저상업단지 등 5개 사업으로 구성됐다. 철책·펜스 철거사업은 아암대로 철책제거 등 15개 사업으로 진행된다.

시는 소래 해넘이 다리 해양데크 등 6개 선도사업 추진을 위한 예산을 마련하고자 정부의 지역밀착형 생활 SOC(사회간접자본) 사업을 활용하고 해양수산부의 연안정비기본계획에 12개 사업을 추가 반영해 국비를 확보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선도사업과 중장기사업으로 사업을 세분화해 각 사업에 대한 국비지원 또는 국가사업 선정을 정부에 요청하는 등 원활한 예산 확보를 위한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며 “6개 거점별 기본 기본계획을 기반으로 한 해양친수도시 조성사업을 통해 시민에게 바다를 돌려줄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주영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