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7년 한국 IMF 사태를 복기하며 던지는 메세지 영화 ‘국가부도의 날’ 오는 28일 개봉

모두가 경제호황을 의심치 않던 지난 1997년 당시 IMF 사태와 관련해 서로 다른 선택을 한 사람들의 이야기 <국가부도의 날>이 오는 28일 개봉한다.

이번 영화의 이야기는 위기를 막으려는 사람, 위기에 베팅하는 사람, 회사와 가족을 지키려는 평범한 사람의 시점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위기를 막으려는 이는 한시현 한국은행 통화정책팀장(김혜수)으로 당시 엄청난 경제 위기가 닥칠 것을 예견하고 뒤늦게 정부차원에서 국가부도 사태를 막기 위한 비공개 대책팀을 꾸린다.

일주일 앞으로 국가부도가 닥친 가운데 대책팀 내부에서 시현과 재정국 차관이 강하게 대립하는 가운데 IMF 총재가 협상을 위해 비밀리에 입국하며 시현의 의사와는 다른 방향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위기에 베팅하는 이의 시점도 이번 영화의 큰 매력 중 하나다.

금융맨 윤정학(유아인)도 곳곳에서 감지되는 위기신호를 포착하나 이를 극복하려하기 보다 ‘역베팅’ 에 도전한다.

과감히 사표를 던지고 투자자를 모으면서 달러급등과 부동산 투자 등으로 IMF 당시 역으로 이득을 봤던 이들의 이야기를 그려낸다.

반면 회사와 가족을 지키려는 평범한 사람은 다가 올 비극을 눈치채지 못해 일반 관객의 공감을 산다.

평범한 가장 갑수(허준호)의 시점이 이를 대변하는데 작은 공장의 사장으로 대형 백화점과의 어음 거래 계약서에 도장을 찍고 소박한 행복을 꿈꾼다.

이 같은 3개 시점은 21년 전 대한민국 사회를 살아가던 우리 모두의 모습으로 200만 명에 육박하는 사상 최대의 실직자가 발생하고 파산과 자살이 만연하면서 우리나라가 자칫 아시아 후진국으로 빠질 수도 있는 사상 최악의 경제위기를 그려낸다.

‘OECD 가입’, ‘아시아의 네 마리 용’ 등 수식어를 뒤로하고 21년 전 국민과 기업과 국가가 무너지던 그날을 팽팽한 긴장감은 물론, 사람이 자살했는데도 돈을 벌었다며 웃는 정학과 파산으로 나락에 떨어진 갑수의 대비되는 모습과 이들의 연기력을 보는 재미 모두가 관객을 기다리고 있다.

 

권오탁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