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항 ‘전자상거래 통관업무’ 시작… 직구· 역직구 물동량 급증 전망

평택항에도 전자상거래 통관업무가 시작돼 평택항을 통한 직구(수입)와 역 직구(수출) 물동량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평택직할세관은 해상 전자상거래(e-Commerce) 통관에 필요한 인원증원과 X선 장비를 배치하고 1∼2주간 설치와 시범운영을 거쳐 이달 말부터 통관업무를 시작할 계획이라고 11일 밝혔다.

 

평택세관은 최근 본부에서 직원 6명을 받아 수입과에 전자상거래 담당 팀을 구성고 직할세관 지정장치장에 컨테이너 사무실을 설치하는 등 전자상거래 통관업무 준비를 끝냈다.

 

앞서 전자상거래 거점항구로 지정돼 통관업무를 전담해온 인천항의 경우 전자상거래 반입 물량이 2014년 13만3천 건에서 2015년 36만5천 건, 2016년 62만3천 건, 2017년242만9천 건, 2018년 10월 말 현재 359만 건에 달하는 등 큰 폭으로 증가해 당일 통관이 어렵고 창고비용 상승 등 각종 문제점이 발생했다.

 

관세청은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천항 물량의 평균 25%를 차지하는 평택항에 전자상거래 통관업무가 가능토록 했다.

 

인천항에서 전자상거래를 취급하는 A업체 관계자는 “평택항에서 전자상거래 통관업무가 개시되면 인천항 독점체제가 무너져 양질의 서비스가 기대된다”면서 “평택항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고 지자체의 인센티브가 확정되면 본사를 이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평택세관 관계자는 “앞으로 전자상거래를 통한 수출입 물동량이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며 “이를 위해 내년 예산에 X선 장비구입비 3억 원을 추가로 확보했다”고 밝혔다.

 

평택=최해영ㆍ박명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