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회 인사간담회 유명무실…공사·공단 사장 형식

8대 인천시의회가 처음 시행한 인천시 산하 공사·공단 사장 내정자에 대한 인사간담회가 수박겉?기식 검증에 그쳐 유명무실하다는 지적이다.

 

7일 인천시의회에 따르면 지난 5일 박인서 인천도시공사 사장 내정자 인사간담회를 했으며, 이 자리에는 이례적으로 정교헌 도시공사 노조위원장이 참고인 자격으로 출석했다. 정 위원장은 이날 사장 임명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임원추천위원회(임추위)에 노조 및 시민단체 인사의 참여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정 위원장은 “그동안 공사 사장 임명 때 마다 내정자 이름 소문이 먼저 나고, 소문이 사실이 되는 악순환이 계속돼 왔다”며 “이를 막으려면 임추위원 중 1명을 시민단체나 노동조합 인사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공사가 설립된 후 9명의 사장이 거쳐 갔는데 평균임기가 1년 8개월에 불과했다”며 “시와 공사가 추진한 사업 책임을 시가 아닌, 공사 사장이 뒤집어쓰고 하차하는 악순환을 막고, 지속 가능한 경영환경에 맞는 경영자를 원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시의회는 정 위원장의 이 같은 요구에 대해 ‘검토하겠다’는 짧은 답변만 내놓은 채 첫 참고인 출석을 마무리했다. 이어 시의회는 박 내정자에게 공사 경영에 대한 포부와 각종 사업에 대한 견해 등을 물었을 뿐, 임추위 과정에서 불거졌었던 내정설 등에 대해서는 언급조차 하지 않았다.

 

앞서 2일 열린 민민홍 인천관광공사 사장 내정자에 대한 인사간담회에서도 임추위에서 제기된 자격 논란이 또다시 불거졌지만, 이에 대한 충분한 검증 없이 ‘임추위의 판단을 인정하고, 노조 등 직원과의 마찰을 최소화하라’고 조언하는 데 그쳐 맥이 빠졌었다.

 

결국, 2번에 걸친 공사·공단 사장에 대한 인사간담회는 대상을 정무경제부시장에서 공사·공단 사장으로 확대한 것을 빼면 내정설 등 각종 자격 논란에 대한 검증은 제대로 못 한 채 임추위의 공정성 논란 해결이라는 숙제만 남기고 마무리됐다.

 

한편, 시의회는 이번 인사간담회 경과 보고서를 조만간 박 시장에게 전달할 예정이다. 의회운영규칙에 따라 시의회는 인사간담회 경과 보고서를 시장에게 제출하게 돼 있지만, 시장은 경과 보고서가 없어도 임의로 내정자를 임명할 수 있다. 

주영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