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정무위 노사 관계자 증인 채택
법인 분리·연구분야 법인 신설 계획
‘한국 철수설’ 연관성 집중진단 방침
勞 “하청기지 전락” 使 “신차개발 집중”
한국 지엠이 추진 중인 연구분야 법인 신설 논란이 국회 국정감사에서 다뤄질 전망이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추혜선 의원(정의당·비례)은 오는 22일 국회에서 열리는 한국산업은행 국정감사에 최종 한국 지엠 부사장, 임한택 금속노조 한국 지엠지부장 등 2명을 증인으로 채택했다고 2일 밝혔다.
최근 한국 지엠이 진행 중인 법인 분리 및 연구분야 법인 신설계획이 오랫동안 불거진 ‘한국 지엠 철수설’과 관련이 있는지 따져보겠다는 것이 신청 이유다.
추 의원실의 한 관계자는 “한국 지엠의 법인 분리가 노동자들의 고용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한 증인 신청”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7월 연구분야 법인 신설계획을 밝힌 한국 지엠은 올해 말까지 국내시장을 넘어 국제 제품 개발업무를 집중적으로 전담할 법인 신설을 강조했다. 그러나 노조 측은 연구법인이 설립되면 국내 공장은 국제 지엠이 필요한 물량만 생산하는 하도급기지로 전락할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더욱이 최근 노조가 요구한 특별단체교섭을 사측이 거부해 결렬되자 노조 측이 쟁의행위도 불사하겠다는 강경 대응을 예고하는 등 사태가 악화할 가능성이 크다.
이렇게 되면 올해 초 한국 지엠 군산공장 폐쇄 이후 정부와 국제 지엠의 자금지원으로 가까스로 경영 정상화의 길에 접어든 한국 지엠이 또다시 철수설 논란에 휘말리는 것 아니냐는 지역 경제계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렇다 보니 한국지엠 지분을 보유한 산업은행의 앞으로 대응의지를 점검할 이번 국정감사가 중요해질 전망이다.
노사 갈등으로 번진 신설법인 문제에 국회와 산업은행이 지켜보지는 않겠다는 의지를 보인 만큼 논란이 새 국면으로 전환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편, 지난해 10월 국회 국정감사에 출석한 카허카젬 한국 지엠 사장은 “한국 지엠은 국내에서 철수하지 않겠다”고 말했으며, 우여곡절 끝에 정부와 산업은행의 자금 지원을 이끌어 내 경영정상화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또 한국 지엠은 지난해 국회에 출석한 카허카잼 한국 지엠 사장에 이어 2년 연속 임원진이 국회에 출석하게 됐다.
양광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