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빨라진 평화시계

김동수 지역사회부장 dskim@kyeonggi.com
기자페이지

김동수.JPG
한반도 평화시계의 초침이 다시 빨라지기 시작했다. 북미 간 6월 싱가포르 선언 후 잠시 멈추나 했던 평화시계가 다시 힘 발을 받고 있다. 근 몇 개월 동안 비핵화, 종전선언이란 벽에 부딪혀 시계는 멈춰섰다. 이런 사이 평화선언이 자칫 공허한 메아리가 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감도 팽배했다. 하지만, 9월 평양정상회담으로 평화시계 초침은 다시 힘을 내고 있다.

 

섣부른 판단일 진정, 9월 평양정상회담은 솔로몬의 지혜였다. 이후 문재인 대통령은 추석 연휴도 내팽개치고 이의 실행을 자처하고 나섰다. 비록 대통령으로서의 책무라 할지라도 열성적 모습이 돋보였다. 그는 유엔총회에서 세계 모든 나라의 관심과 지원을 호소했다. 외교적 수단과 지혜를 총동원했다. 그런 열정이 통했던 것일까? 각국은 박수를 보냈고 미국도 곧바로 화답했다. 교착상태에 머물렀던 북미 간 2차 정상회담이 조만간 열릴 모양새다. 종전선언에 대한 기대감도 높다.

 

그동안 미국은 선 비핵화를 주장한 탓에 많은 어려움이 뒤따랐다. 그런 미국을 문 대통령이 움직였고 2차 정상회담이란 결실로 이어지고 있다. 외신에 따르면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2차 북미정상회담을 조율하고자 내달 평양을 방문한다. 9월 평양정상회담을 시작으로 한미정상회담, 북미 외교수장 회동, 폼페이오 4차 방북, 2차 북미정상회담 등 숨 가쁜 대화 국면이 예상된다.

 

이를 거들기라도 하듯 트럼프 미 대통령은 한바탕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치켜세웠다. 김 위원장의 편지를 놓고 ‘역사적이다’, ‘감명 깊다’, ‘아름다운 예술작품’이라며 극찬했다. 분위기가 예전과는 다르다.

 

우리 정부나 정치권, 그리고 경제계도 보조를 맞춰가는 모양새다. 통일부는 남북 간 10·4선언 11주년 기념식을 다음주 평양에서 개최하는 방안을 협의 중에 있다. 민관 공동으로 100∼200명 정도 규모로 방북단을 구성해 보내는 방안을 북측과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제계도 종종걸음이다. 9월 평양정상회담에 4대 그룹 총수들이 북한을 찾으면서 다가오는 경협시대를 준비 중이다. 남북경협 사업은 정치인들이 물꼬를 틀지라도 경제인들이 주도해야 한다. 산적해 있는 난관에도 불구, 해야 할 숙명이자 과제다. 통일로 나아가는 디딤돌이기 때문이다. 문 정부는 1차 남북정상회담 직후 곧바로 ‘현대그룹 남북경협사업 태스크포스팀(TFT)’을 꾸렸다. 그룹 총수인 현정은 회장을 위원장으로 임명해 경협 구상에 들어간 것이다.

 

현대는 과거 남북경협을 주도해 온 기업이다. 고 정주영 회장이 소떼를 몰고간 것은 알려진 일화다. 지금도 금강산 관광지구 관광사업권과 개발사업권, 개성공업지구 개발사업권, 백두산관광 사업권, SOC개발 사업권 등을 보유하고 있다. 현대는 여기에다 전력·통신 사업을 포함한 SOC 건설 등 다양한 사업권도 확보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와 LG전자도 북한에서 TV생산을 한 전례가 있어 분위기만 조성되면 곧바로 뛰어들 태세다.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 이 같은 글로벌 정세는 이유가 있다. 이제 지구촌에서는 독불장군으로는 살아남기 어렵다. 결국, 북한도 개방을 택했고 극단적 처방으로 핵무기를 완성했을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의 사정은 넉넉한 편인가? 결코, 그렇다고 볼 수 없는 게 현실이다. 평화 행보 뒤에는 경제적 난관이 도처에 산재해 있다. 문재인 정부의 여러 획기적 처방에도 불구, 경제 사정이 좀처럼 나아지지 않고 있다. 쾌 불편한 현상이다. 물론 계층과 분야별 사정은 다를 것이다.

하지만, 60~70%란 높은 지지도와 경제 현실은 괴리가 있는 듯하다. 현 정부는 이런 현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그렇다고 이런 평화 행보를 결코 폄하해서는 안 된다. 평화와 통일은 우리가 다시 한 번 도약할 수 있는 큰 호재임에 틀림없기 때문이다. 초침을 울려가는 평화시계에 무한대의 관심과 지원이 절실해 보인다.

 

김동수 지역사회부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