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교복=인천 브랜드… 지원조례안 둘러싸고 ‘찬반논란’

시의회 교육위 개정조례안 수정 통과 市 개발 자체 브랜드 적극 활용 담겨
학부모 “일방적 결정… 선택권 침해” 교복 자체 제작 판매 대리점은 환영
“대형 브랜드 물량공세서 해방 기대”

인천 중·고교생을 위한 무상교복 지원 조례안이 교육위원회를 통과하면서 명시된 ‘인천 브랜드 적극 활용’을 두고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6일 인천시교육청에 따르면 지난 4일 시의회 교육위원회는 김진규 의원이 발의한 교복 구매 지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수정 통과시켰다.

 

수정안에는 인천시가 개발한 자체 브랜드를 적극 활용한다는 조항이 추가됐다. 사실상 인천시는 현물 지급 방식으로 지원하는 것을 결정한 셈이다.

 

그러나 조례안 통과 이후 반발의 목소리가 거세다.

 

중학교 3학년, 내년에 중학교에 입학하는 딸 2명을 둔 A씨(46)는 “인근 경기도만 봐도 현물지원인지 현금지원인지를 두고 학부모들의 의견을 묻는 등의 절차를 진행하고 있는데, 인천은 그런 이야기가 전혀 없이 현물지원을 결정했다”며 “인천 자체브랜드를 활용한다는 것 역시 일방적인 결정이고 명백한 선택권 침해”라고 했다.

 

지역 내에서 한 브랜드 교복점을 운영하는 B씨(50)는 “인천 브랜드라는 건 결국 지금 우리가 팔고 있는 브랜드 상표를 떼고 인천 브랜드를 붙이라는건데, 본사와 법적 분쟁에 시달릴 우려가 있고 자체 공정을 갖추고 있지 않아 사실상 입찰 자체에 참여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점차 무상교복 지원범위가 확대되고, 모든 아이들이 무상교복을 입을 때가 오면 우리들은 다 죽으라는 얘기 아니냐”고 했다.

 

반면, 교복을 자체 제작해 판매하는 대리점을 운영하는 C씨(55)는 “그동안 대형 브랜드들이 무차별적인 광고와 덤핑으로 시장 자체를 장악하고 있었는데, 자체브랜드를 만들게 되면 진짜 좋은 질을 가진 영세 사업자들이 빛을 볼 수 있지 않겠느냐”며 “본사로 가는 로열티의 유출도 막을 수 있어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본다”고 했다.

 

이에 대해 김진규 의원은 “대형 브랜드 역시 입찰의 기회는 열려있고, 다만 아이들이 교복에 붙여져 있는 상표로 인해 위화감을 느끼지 않도록 단일 브랜드를 이용하자는 취지”라며 “학부모들의 의견 수렴 부분은 앞으로 시교육청은 물론 나도 직접 학부모들을 만나 설명하는 자리를 가질 예정”이라고 했다.

 

김경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