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청라 학교신설 운명은?

송도 7개교·청라 1개교·검단 4개교
교육부 중앙투자심사위원회 열려
부결땐 신도시 ‘학교대란’ 불가피

인천 송도국제도시와 청라국제도시, 검단신도시 등 과밀학급 우려 지역 학교 신설 여부를 결정할 교육부 중앙투자심사위원회가 5일 열렸다.

 

인천시교육청은 특히 송도의 경우 학교 신설 승인을 받지 못하면 학교대란 사태가 우려되는만큼, 이해당사자인 경제자유구역청과 인천시 담당자를 동행해 중투심에 참석했다.

 

5일 시교육청에 따르면 이번 중투심에 오른 신설 학교는 송도가 7곳, 청라 1곳, 검단 4곳이다.

 

특히 해양1초와 해양5초, 해양1중 등은 경제자유구역청이 부지를 무상제공한다는 조건으로 중투심을 통과했다가 경제청의 입장 선회로 재심사에 오른 곳이다.

 

인천 내에서는 경제청이 교육청에 부지를 매각하고 비용은 시가 지불하는 방식으로 해결점을 찾았지만, 이는 교육부가 한 차례 불가입장을 밝힌 대안이기도 하다.

 

이날 중투심에서도 위원들은 “앞으로 계속해 학교가 필요해질텐데, 그때마다 부지를 같은 방식으로 해결할 것이냐”며 “경제청이 입장을 바꾸면 어떻게 되느냐”는 질문을 던졌다. 이에 경제청은 입장 선회는 없을 것이라고 했고, 시 관계자 역시 관련 질문에 직접 답변에 나서 위원들에게 신뢰를 준 것으로 알려졌다.

 

시교육청은 이미 과밀학급 문제를 겪고 있어 반드시 신설이 필요한 청라의 ‘청호 초·중 통합학교’에 대해서도 중투심 통과가 꼭 필요하다는 입장을 전했다. 부결될 경우, 학급당 평균 인원 40명을 넘어서는 초과밀학급이 탄생하게 되기 때문이다.

 

시 교육청 관계자는 “인천 주민과 언론에서 여러번 학교 신설 필요성을 이야기했던 것과 우리가 준비한 자료를 바탕으로 인천의 특수성을 고려해달라고 요청했다”며 “위원들도 인천의 특수성에 대해선 이해한다는 입장을 보인만큼 긍정적인 결과를 기다릴 것”이라고 했다.

 

김경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