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인천준비위원회 다각적 검토 지역 맞춤형 ‘컨트롤타워’ 필요 여론
융합기술·빅데이터 인프라 취업 창출 일자리·복지·평생교육 ‘3각 선순환’
민선7기 박남춘 인천시장 당선인이 문재인 정부의 일자리 정책에 발맞춰 시장 직속 일자리위원회를 설치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5일 박 당선인의 새로운 인천준비위원회에 따르면 청년일자리를 비롯한 다양한 일자리 관련 이슈를 논의할 수 있는 게이트키퍼(Gatekeeper) 역할을 할 시장직속 일자리위원회 설치 방안을 들여다보고 있다.
현재 인천에는 인천시노사민정협의회와 인천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등이 구성돼 있지만, 개최 실적이 저조하고 위원회별 대표자(한국노총인천지역본부·인천상공회의소)가 달라 지역 특성에 맞는 일자리 정책을 담당하기에는 미흡한 실정이다. 또 시본청에 있는 일자리경제국과 투자유치산업국의 이원화로 일자리 미스매치 문제가 발생하는 등 일자리위원회 설치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에 준비위는 융합기술산업 분야와 가치 있는 빅데이터 구축 인프라 분야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일자리·복지·평생교육 등 3각 선순환구조로의 변화 모멘텀을 도출하고자 시장 직속 일자리위원회 설치를 검토하고 있다.
인천시가 준비위에 보고한 ‘일자리위원회 신설 및 조직 재설계(안)을 보면’ 일자리위원회는 시장과 민간위원장이 공동위원장으로 기업분과·고용분과·청년분과·복지분과 등 4개 분과에 30인 이내의 전문가로 구성된다.
기업분과는 ‘중소기업 일자리 질 개선’, ‘중소기업 미스매칭 해소 방안’, ‘전략산업 육성 및 유망산업 일자리 연계 방안’ 등을, 고용분과는 ‘지역특성에 맞는 일자리 창출 사업’, ‘산업별 직업훈련·인력양성’, ‘구인·구직 위업지원 서비스’, ‘사회적기업 육성방안’ 등을 각각 담당한다. 청년분과는 ‘청년일자리 동향·수요 분석’, ‘청년일자리 사업 발굴 건의’, 청년일자리 미스매칭 해소방안’ 등을, 복지분과는 ‘여성일자리 취업지원’, ‘노인 일자리 창출’, ‘장애인 취업 확대’ 등을 각각 맡는다.
준비위 관계자는 “박 당선인의 공약인 시장직속 일자리위원회 설치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며 “지역 일자리 정책을 발굴하고 기획·심의하는 컨트롤타워로서 4차 산업혁명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위원회를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영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