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총 40억원을 투입해 3년 뒤 상용화하려는 ‘자율비행드론 기술 개발’ 사업에 빨간불이 켜졌다.
24일 시에 따르면 올해부터 2020년까지 3년간 총 4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 중 하나인 자율비행드론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자율비행이란 지상 통제시스템의 간섭을 받지 않고 독자적으로 목적지까지 운행하는 개념이다.
시는 3단계 방식으로 자율비행드론 기술개발에 들어가기로 하고 1차년도(1단계) 3억원, 2차년도(2단계) 15억원, 3차년도(3단계) 22억원 등 총 40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시는 인천항공산업산학융합지구를 관리하는 인천산학융합원과 로봇랜드 등과 지역 자원을 활용, 자율비행드론 기술의 기본 개념과 기술을 연구한 뒤 2019년 드론 기체를 개발하고 2020년 상용서비스를 시작하겠다는 청사진도 내놨다.
하지만, 첫해부터 계획한 예산보다 적은 2억원을 배정하는데 그치면서 자율비행드론을 2020년 상용화하겠다는 계획이 차질을 빚게 됐다.
시가 배정된 예산에 맞춰 자율비행드론 실증연구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올해 사업방향을 수정했지만, 당장 내년부터는 얼마 만큼의 예산을 투입해 어떤 연구를 해야 할지 계획조차 잡지 못하고 있어서다.
실증연구는 유수지에 대한 환경실태조사를 통한 수질관리가 필요한데 면적이 방대해 대표성 있는 수질채취지점으로의 접근이 어려운 점을 해결하고자 자율주행드론을 투입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드론이 자율주행을 해 채수를 한 뒤 보건환경연구원 실험실로 보내는 작업에 대한 실증연구로 오는 11~12월 실시될 예정이다.
실증연구에 성공해도 바로 상용화하기 어렵다는 점도 문제다. 실증연구를 마친 자율비행드론의 경우 시제품에 불과해 상용화하는데 1년이 걸릴지 2년이 걸릴지 현재로서는 예측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주어진 예산에 맞춰 해 보겠다는 것으로 1단계가 성공해야 다음단계로 갈 수 있는데 결과가 좋지 않으면 내년에 다시 1단계부터 시작해야 할 수도 있다”며 “현재 확실하게 정해진 것은 아무것도 없는 상태로 이번에 성공해도 상용화하는데 1년이 걸릴지 2년이 걸릴지 알 수 가 없다”고 말했다.
주영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