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교육감 ‘비리 스캔들’ 다시는… “부패 엄단” 한목소리
전임 교육감들 줄줄이 불명예… 수장공백 교육현장 혼란 ‘타산지석’
지난 2010년 첫 직선제 시교육감을 선출한 이래 민선 1·2기 교육감들이 연이어 인사비리와 뇌물수수 등의 비위 혐의로 실형을 선고받았기 때문이다.
특히 전임자인 이청연 전 교육감의 경우 임기 도중 법정구속되는 불명예를 안았고, 이로 인한 교육감 공백의 폐해는 고스란히 교육 현장으로 돌아갔다.
이 때문에 고승의·도성훈·최순자 후보 모두 ‘청렴’ 정책을 강조하고 있다.
이들은 모두 청렴한 인천교육을 위해 새로운 제도를 신설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웠다. 저마다 명칭은 다르지만 시민들이 직접 참여해 예산의 운영이나 행정상의 비위를 막는 기구 형성에는 큰 차이가 없다. 또 만약 부정부패가 발견됐을 때 이에 대한 강력한 책임 추궁을 통해 비위를 사전에 막겠다는 것에도 큰 차이가 없다.
세부적으로 고 후보는 공보물에 ‘청렴인천교육’을 전면에 내세워 부패공직자에 대해서는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를 엄격 적용하고, 각급 기관의 예산 사용 내역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실시, 내부 공익신고자 보호시스템 강화, 청렴 시민감사 관제 도입, 교육감 직속 교육비리 고발센터 운영 등을 내걸었다.
도 후보는 시민들이 참여하는 교육비리감시위원회를 운영하고 교육비리 공무원 무관용제, 인사행정을 위한 소통인사제도 도입, 교육감 선거비용 및 업무추진비 상시 공개 등의 공약을 걸었다.
최 후보는 민·관거버넌스 기구를 신설해 학부모 교육현장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교육비리 근절을 위한 스크리닝 시스템 구축, 교육계 원로로 구성된 원로원탁회의 상설화, 공정한 인사시스템 및 교원 전문성 지원 등을 내걸었다.
세 후보가 이처럼 다양한 청렴 공약을 내세운 것은 각자의 약점을 강점으로 전환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고 후보는 나근형 전 교육감 당시 시 교육청에서 근무하면서 그의 비위 혐의에 연루됐다는 의혹을 받았고, 도 후보는 지난 교육감 선거에서 이 전 교육감과 단일화를 이뤄 지지 선언을 하는 등 그의 책임론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평이 지배적이다. 최 후보의 경우 인하대에 막대한 예산 손실을 가져온 책임을 지고 개교 이래 처음으로 총장에서 해임되는 불명예를 안았다.
이러한 후보들의 전력은 지난 3일 열린 토론회에서도 청렴성을 의심하는 칼이 돼 서로에게 날아들었다.
결국 세 후보가 청렴 정책에 각별한 신경을 쏟고, 서로 엇비슷한 정책을 내놓은 것은 자신들에게 향할 칼을 막기 위한 방패라는 게 교육계 중론이다.
김경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