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에 큰 족적을 남긴 인물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일은 흥미롭다. 그 과정에서 몰랐던 사실을 알게 되거나 새로운 일을 밝혀낼 수도 있다는 점에서다. 알고 있는 내용이라도 더 자세히 들여다 볼 수 있다.
김중업이 르 코르뷔지에의 제자라는 사실은 유명하다. 그러나 김중업이 르 코르뷔지에를 만나게 된 과정이나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에 대해선 잘 다루지 않았다.
안양 김중업건축박물관이 특별관에서 기획전 <김중업, 르 코르뷔지에를 만나다: 파리 세브르가 35번지의 기억>을 열고 있다. 김중업의 작고 30주기를 기념한 전시다. 김중업과 르 코르뷔지에의 만남이 한국 현대건축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집중 조명한다.
르 코르뷔지에는 현대 건축의 아버지라 불리는 인물이다. 그가 지은 7개국 17개 작품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기까지 했다. 김중업이 참여한 르 코르뷔지에의 작품 중 10개의 주요작품과 관련된 123점의 도면과 스케치를 전시한다. 르 코르뷔지에의 후기 대표작 대부분과 김중업에 대한 기록, 사진, 작품 등을 포함한다.
전시는 <프롤로그: 전쟁과 피난, 꿈과 모험>, <섹션1: 아틀리에 르 코르뷔지에>, <섹션2: 아메다바드, 세 개의 건축>, <섹션3: 새로운 도시, 샹디갈>, <섹션4: 1957, 김중업건축작품전> 등으로 구성된다.
프롤로그는 르 코르뷔지에를 만나기 전 김중업의 삶을 보여준다. 한국전쟁 중 김중업이 유네스코 제1회 국제예술가대회가 열리는 베니스로 향하는 여정을 기록한 자필 메모도 있다. 김중업은 이 대회에서 르 코르뷔지에를 처음 만난다.
섹션1부터는 김중업과 르 코르뷔지에의 만남이 시작된다. 르 코르뷔지에의 아틀리에를 전시실로 재현해 당시 작업실로 들어간 듯한 느낌을 준다. 김중업은 고국으로 가지 않고 르 코르뷔지에를 찾아간다. 이때 김중업이 르 코르뷔지에에게 건넨 명함도 남아있다.
김중업이 참여한 12개 프로젝트, 320여 개의 도면을 아틀리에 테이블에 놓아 넘기며 볼 수 있다. 자울 주택, 낭트 르제에 있는 위니테 다비타시옹, 롱샹 성당 등 김중업이 아틀리에에서 참여한 작업들이 본격적으로 이어진다.
섹션 2와 3은 인도 서부 최대 도시인 아메다바드, 인도 북부 편잡주의 수도인 샹디갈에서의 작업을 보여준다. 인도의 자연과 기후에 맞춰 혁신적인 설계를 선보인 르 코르뷔지에의 작업과 함께 김중업이 참여한 도면을 전시한다.
마지막 섹션은 김중업이 한국의 거장으로 자리잡은 시기를 다룬다. 김중업의 초기작인 유유제약 안양공장, 주한프랑스대사관과 함께 부산대학교, 건국대학교 등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김중업은 르 코르뷔지에에게 사사한 내용을 한국에 맞게 풀어냈다. 전시가 진행 중인 김중업건축박물관도 그 흔적이다. 옛날 유유제약 공장이었던 박물관은 김중업이 설계한 건물로 공장이 이전한 후 안양시가 박물관으로 꾸민 의미 있는 공간이다. 향후 안양 김중업건축박물관이 이처럼 탄탄한 기획전을 시민에게 선보이며 한국 건축사를 이끌 것으로 기대한다.
경기일보 뉴스 댓글은 이용자 여러분들의 자유로운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건전한 여론 형성과 원활한 이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사항은 삭제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경기일보 댓글 삭제 기준
1. 기사 내용이나 주제와 무관한 글
2. 특정 기관이나 상품을 광고·홍보하기 위한 글
3. 불량한, 또는 저속한 언어를 사용한 글
4. 타인에 대한 모욕, 비방, 비난 등이 포함된 글
5. 읽는 이로 하여금 수치심, 공포감, 혐오감 등을 느끼게 하는 글
6. 타인을 사칭하거나 아이디 도용, 차용 등 개인정보와 사생활을 침해한 글
위의 내용에 명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불법적인 내용이거나 공익에 반하는 경우,
작성자의 동의없이 선 삭제조치 됩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