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시, 명장·무형문화재 지정만 해놓고 ‘나몰라라’

사후관리 안돼 상표권 분쟁 몰라
경력 위조해도 지정 취소규정 없어
안성유기 둘러싼 논란 ‘부채질’

안성시 대표 특산품인 유기를 놓고 상표권 다툼에 이어 무형문화재 경력 논란까지 일어난(본보 4월9일 자 7면) 가운데 안성시가 ‘명장’과 ‘무형문화재’를 지정만 해놓고 사후관리는 전혀 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시는 자신들이 선정한 ‘명장’이라는 칭호가 어떻게 상표화돼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지조차 전혀 파악하지 못하고 있으며, 경력 위조 등 문제가 발생해도 무형문화재 지정을 취소할 수 있는 규정도 마련해 놓고 있지 않아 이번 유기를 둘러싼 논란을 부채질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9일 안성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12년부터 현재까지 ▲안성시 안성맞춤명장 6명과 ▲안성시 무형문화재 1명을 지정한 상태다. 안성맞춤명장의 분야는 유기, 토기, 도예, 자수, 목공예 등이며 무형문화재는 현재 이종문 주물유기장이 유일하다. 이들은 모두 안성시가 전통공예 분야의 발전 및 향토 문화 발전을 목적으로 두고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시가 명장과 무형문화재 지정 후 이에 따른 사후 관리는 전혀 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시는 지난 2012년부터 명장을 지정해 오고 있지만 이들에 대한 지원은 지난해 처음 명장들에게 200만 원가량을 지원한 것이 전부다. 무형문화재인 이종문씨에게는 지원을 전혀 하지 않고 있다.

 

또 시는 자신들이 선정한 ‘명장’이라는 칭호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도 전혀 파악하지 않았다. 이에 최근 불거진 이종오 명장을 둘러싼 상표권 논란도 언론보도 등을 통해서야 뒤늦게 알게 된 것으로 확인됐다. 더욱이 자신들이 선정한 명장 및 무형문화재가 생산하고 있는 제품에 대해 단 한 차례도 품질 검수 등을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으며, 경력 위조 등의 문제가 발생해도 무형문화재 지정을 취소할 수 있는 규정도 없다.

 

이에 대해 안성시 관계자는 “인력 및 예산 등이 부족해 명장 및 무형문화재 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안성 유기를 놓고 최근 벌어진 논란에 대해서는 향후 정식으로 민원이 제기되면 조사를 실시해 적절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말했다.

박석원ㆍ김승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