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3인 이상 결선투표”… 인천시장 경선 새 변수

1차 경선 최고득표자 과반 확보 못하면 1·2위간 결선
1차례 정책토론회도 치뤄… 예비후보 “黨 결정 수용”

▲ 민주당 인천시장 예비후보 면접… 누가 웃을까 ‘6·13 지방선거’ 인천시장 도전에 나선 더불어민주당 (왼쪽부터)박남춘, 김교흥, 홍미영 예비후보가 2일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당사에서 열린 공천관리위원회 광역단체장 면접을 각각 마친 후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장용준기자
민주당 인천시장 예비후보 면접… 누가 웃을까

‘6·13 지방선거’ 인천시장 도전에 나선 더불어민주당 (왼쪽부터)박남춘, 김교흥, 홍미영 예비후보가 2일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당사에서 열린 공천관리위원회 광역단체장 면접을 각각 마친 후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장용준기자

더불어민주당이 2일 결정한 6·13 지방선거 광역단체장 후보 경선 시 결선투표 도입이 인천시장 경선 구도의 새로운 변수로 떠오를 전망이다.

 

민주당 박범계 수석대변인은 이날 국회에서 최고위원회가 ‘경선 시행세칙’을 의결했다고 기자간담회를 통해 밝혔다.

결선은 후보 3명 이상 나선 시·도지사 경선을 대상으로 1차 경선에서 최고 득표자가 과반을 확보하지 못하면 1~2위가 벌인다.

 

민주당은 또 시·도지사 경선 과정에서 당 차원의 정책토론회는 1차례 진행키로 했다.

중앙당의 이 같은 결정으로 박남춘 국회의원과 김교흥,홍미영 예비후보 등 3명이 나선 인천시장 후보 경선의 결선 가능성이 커졌다.

 

일단 예비 후보들은 당이 결정하면 흔쾌히 따르겠다는 입장이다.

각 후보는 현재 경선 페이스를 그대로 유지하거나, ‘경선 1위 올인’ 전략에서 기본 경선 레이스를 유지하되, 상대 후보에 대한 네거티브를 자제하는 전략으로 우회하는 방안 등을 고심 중이다.

 

일부 후보의 전략 우회 입장은 현재 3명의 여론조사 지지도 추이 상 결선 가능성이 큰데다, 경선에서 3등의 선택이 결선의 승패를 결정할 수 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박 의원 측은 당이 결정하면 따르겠지만, 결선 투표를 한다고 해서 특별히 바뀌는 전략은 없다고 밝혔다.

다만, 경선에서 적용되는 현역의원 감점(10%)이나 여성후보 가산점(10%) 부여 등의 불공평 규정이 결선에서는 변경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박 의원은 “현재 경선 페이스가 좋은 만큼 인천에서 나고 자란 토박이로 해수부 근무와 인천항만 관련 업무 수행 등으로 지역 특성을 많이 아는 진정한 친문, 친노 후보라는 사실을 알려 나가고 있다”라며 “시민과 당원께서 이 같은 사실을 알아 주신다면 경선이든 결선이든 모두 자신있다”고 말했다.

 

김교흥 예비후보는 경선 붐 조성 차원에서 결선 투표 도입을 환영하는 입장이다.

김 예비 후보는 “결선 투표가 도입되면 경선 붐 이나, 경쟁력 있는 후보 검증 차원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네거티브를 자제하고, 좋은 경쟁 후보들과 정정당당한 정책 대결을 펼쳐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지난 19일 시장 출마를 선언한 지 10여일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당원과 시민, 공무원 여러분을 만날때마다 ‘소통 교흥’이라는 분에 넘치는 격려를 받고 있다”라며“인천 민주당에서 보낸 20년 세월과 경험을 바탕으로 반드시 경선을 통과해 은혜를 갚은 ‘김교흥’이 되겠다”고 다짐했다.

 

홍미영 예비후보도 결선 도입에 찬성이다.

홍 예비후보는 광역단체장 경선 무대에서 기초단체장 출신 후보라는 경력 때문에 혹시라도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한다면 결선을 통해 재 검증을 받는다는 각오이다.

특히 여성후보 경선 가산점과 당내 여성 국회의원들의 ‘광역자치단체장 여성후보 전략공천’촉구 움직임 등에 기대를 걸고 있다.

 

홍 예비후보는 “서민층 중심의 현장 투어를 해보니 인천의 바닥 민심이 무엇이고, 인천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잘 알게 됐다”라며 “특히 이 곳에서 만난 주민들이 잡아 주시는 따스한 손을 통해 힘을 얻고 자신감을 만들어 가고 있다”라고 말했다.

 

지역 정가의 한 관계자는 “현재 누구도 경선 1위를 장담할 수 없는 판세에서 결선 도입은 ‘만약에 한번 더’라는 기회를 부여하기도 하지만, 결선 시 경선 3위를 껴안아야 하는 새로운 전략도 필요한 상황이 됐다”라고 밝힌 뒤“유권자에게는 후보 검증을 한번 더 할 수 있다는 의미가 있다”라고 말했다.

유제홍·주영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