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 선거 인천시장 후보들 ‘원도심 공약’ 경쟁 불 붙었다

유정복, 3조 투입 부흥 프로젝트 가동
박남춘, 싱크탱크 도시창조개발원 신설
김교흥, 도시재생청 만들어 균형 발전
홍미영, 시장 직속 도시재생위원회 설치
김응호, 군구 협의 교부금 조정·법 개정

6·13 지방선거에서 인천시장 선거에 나설 주요 후보 모두 공식 출마 선언을 한 가운데 각 후보가 원도심 개발을 최우선 공약으로 제시하며 ‘원도심 개발 전(戰)’ 이 본격화 되고 있다.

 

28일 지역 정가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 박남춘 의원이 이날 공식 출마선언을 하면서, 더불어민주당(3명), 자유한국당, 정의당 등 본선에 나설 주요 후보가 모두 공식 출사표를 던졌다. 이들 후보들은 저마다 원도심 개발의 적임자임을 강조했다.

 

자유한국당 유정복 시장은 일찌감치 총 3조 원이 투입되는 ‘원도심 부흥 프로젝트’를 제시하며 구도심 표심을 파고들고 있다. 7개 원도심 혁신지구를 지정해 한 곳당 100억원 이상의 집중지원한다. 원도심재생본부와 원도심부흥추진위원회를 만들어 사업을 이끌 방침이다.

 

더불어 민주당 박 의원은 송도·영종·청라 경제자유구역을 중심의 개발정책으로 원도심과의 불균형을 부른 만큼 원도심 재생과 균형을 맞추기 위한 가칭 도시창조개발원 신설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김교흥 예비후보는 신도시에 비해 낙후된 원도심의 혁신적인 발전을 위해 인천도시재생청을 만들어 경제자유구역청과 함께 인천의 균형발전을 이끌겠다는 전략을 내놨다.

 

홍미영 예비후보는 시장 직속 도시재생위원회를 만들어 원도심의 주거환경 개선과 상권활성화, 공동체 마을 조성 등을 통해 신도시와 원도심의 균형발전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구상이다.

 

정의당 김응호 예비후보는 원도심과 신도심의 균형발전을 위해 일선 군구와 협의해 교부금을 조정하고 관련 법률을 개정해 장기적으로는 인천의 성장동력을 찾겠다는 공약을 내놨다.

 

이들 시장 후보들의 원도심 개발 공약은 정부의 도시재생뉴딜정책과 맥을 같이한다. 특히, 정부가 뉴딜사업 선정 및 관리권한을 2022년까지 지자체에 단계적으로 위임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각 후보군의 원도심 공약이 정책적 효과를 낼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

 

지역 정가의 한 관계자는 “각 예비후보들의 원도심 공약이 문재인 정부의 도시재생뉴딜정책과 방향을 같이해야 정책의 지속성은 물론, 예산 확보 등에 있어 효과가 클 것”이라며 “정부 정책에 발을 맞추면서 인천만의 특색있는 원도심 정책을 만들 수 있게 다듬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도시재생뉴딜정책에는 연 9조9천만원을 투입해 2022년까지 250곳의 지역혁신거점을 조성하고, 300곳 이상의 도시재생지원센터를 설치하는 내용이담겼다. 노후 주거지(원도심)를 대상으로 선진국 수준의 생활인프라를 확충하고 창업공간, 청년임대주택, 공공서비스 지원센터가 연계된 복합 앵커시설인 도시재생 어울림 플랫폼도 조성한다.

 

주영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