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주공산’인 인천시교육청의 새로운 수장을 결정할 6·13 인천시교육감 선거가 진보·보수·중도 3파전을 예고했다.
22일 인천시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날까지 등록된 예비후보는 고승의 덕신장학재단 이사장(66), 도성훈 전 동암중 교장(57). 박융수 전 인천시교육청 부교육감 등 3명이다.
도 전 교장의 경우 진보진영 단일화 과정을 거쳐 단일후보로 선출된 만큼 강한 조직력이 강점이다.
도 전 교장은 지난 12일 전국교직원노동조합과 민주노총 등 진보진영을 중심으로 이뤄진 ‘인천촛불교육감 추진위원회’를 통해 단일 후보로 선출됐다.
그는 교육현장에서 오랜 시간을 보낸 만큼 교육불평등, 부정부패, 학교폭력, 비인권적 학교문화 등 적폐청산을 통한 정의로운 인천교육 형성을 전면에 내세웠다.
도 전 교장의 최대 걸림돌은 이청연 전 교육감으로 인한 진보진영에 대한 불신이다.
직선제 도입 이후 첫 교육감이었던 나근형 전 교육감 역시 뇌물수수로 실형이 확정된 상황에서 청렴을 앞세운 진보진영마저 이 전 교육감이 현직에서 뇌물 혐의로 실형을 확정받자 시민들 사이에서는 불신이 팽배해졌다.
특히 도 전 교장이 참여한 촛불교육감 추진위가 대부분 이 전 교육감 선거운동에 전면으로 나섰던 단체로 구성된 만큼 어떻게 이 전 교육감의 부패 흔적을 지우고 청렴을 강조할 것인가가 최대 숙제로 남게 됐다.
진영논리에 얽매이지 않고 교육정책으로 승부를 걸겠다며 출마를 선언한 중도 성향의 박융수 전 부교육감은 이번 선거의 최대 변수로 꼽힌다.
박 전 부교육감은 출판기념회 하지 않기, 기부금·후원금 안받기, 선거 펀딩 하지 않기, 트럭과 스피커 사용하지 않기, 선거운동원 고용하지 않기 등 3+3무(無)선거를 전면에 내세웠다.
인천에 연고가 없어 조직력이 약하다는 약점이 있지만 고교 무상급식 시행 과정에서 시와의 대립을 통해 시교육청에 유리한 결론을 끌어내는 등 교육감 권한대행으로 그가 보여준 리더십이 지지기반을 구축해줄 것으로 예상된다.
아직 단일후보를 내지 못한 보수진영은 단일화를 이룰 수 있을지 여부도 불투명하다.
보수진영인천교육감단일화통합위원회에 참여한 한 단체가 고승의 이사장을 단일후보로 결정했다가 번복하는 소동이 벌어지는 등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진보진영보다 먼저 단일화 추진 단체를 꾸린 보수진영은 현재 고 이사장과 최순자 전 인하대 총장, 이팽윤 전 시교육청 교육국장 등 3명이 단일화 경선에 참여할 예정이다.
경선은 다음달 초에 치러지며 아직 경선 방식은 결정되지 않았다.
인천지역 교육계 관계자는 “지난 선거에서도 보수진영의 분열로 패배했던 만큼 이번에는 반드시 단일화를 이뤄야하지 않겠느냐”며 “단일화 성사 여부가 보수진영 성패를 좌우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김경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