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시민사회단체와 정치권 일각에서 기초의원 중대선거구 확대를 주장하고 나섰다.
정치개혁인천행동은 13일 인천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인천시의회는 2인 선거구를 최소화하고 3인 이상 선거구를 확대해 풀뿌리 지방의회의 다양성을 보장하라”고 주장했다.
국회는 앞서 인천의 기초의원 정수를 기존 116명에서 2명 늘어난 118명으로 정했다. 이후 인천시 군·구의회 선거구 획정위원회는 2인 선거구 13곳, 3인 선거구 20곳, 4인 선거구 4곳을 기초의원 선거구로 정하는 획정안을 마련했다. 이 획정안은 관련 조례안에 반영돼 16일 시의회에서 최종 결정된다.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시민사회단체들은 자유한국당이 과반 이상을 차지한 시의회 사정상 획정안보다 2인 선거구가 늘어날 것을 우려하고 있다. 한국당은 2인 선거구를 고수하는 입장이다.
정치개혁인천행동은 “2인 선거구를 반대하는 이유는 다양한 정치세력과 여성 및 청년 등 정치신인의 지방의회 진출을 가능케 하기 위한 중선거구제 취지를 왜곡하고 거대 정당의 지방의회 독식을 가능케 하기 때문”이라며 “3인 이상 선거구 확대를 반대하는 시의원은 인천시민을 위해 일하는 것이 아니라 자리보전과 당리당략만을 위해 일하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말했다.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김응호 정의당 인천시장 예비후보는 “정의당과 시민단체 입장에서 더 많은 3~4인 선출정수로 여성, 사회적 약자, 소수정당, 사회적 약자 등이 대거 진출할 수 있는 선거구가 획정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민중당 인천시당도 이날 논평을 통해 “시의회는 군·구의원 중대선거구 확대로 정치 다양성을 보장하라”고 주장했다.
김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