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각 정당의 6·13 지방선거 경선 정국이 막바지로 치닫는 가운데 더불어민주당은 후유증을 불사하는 열전을 펼치는 반면, 자유한국당 등은 경선 출혈을 최소화시키며 당 지지율 올리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정당 지지율이 높은 민주당은 당선 가능성이 커 많은 예비후보가 몰리는데다 경선 과정에서 다소의 후유증이 있더라도 본선에서 승산이 있다는 셈법이고, 자유한국당 등 야당은 현재의 낮은 당 지지율에다 경선 후유증까지 겹치면 공멸이라는 위기감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민주당은 박남춘 국회의원, 김교흥 전 국회 사무총장, 홍미영 전 부평구청장 등 시장 후보군이 사실상 공식 경선전에 돌입한 가운데 특정 후보의 불리할 수 있는 경력이나, 플랜 비(Plan B)설 등이 나돌고 있다.
각종 ‘설’의 당사자들은 상대 후보측에서 (나를)흠집 내거나 견제하기 위해 ‘설’을 흘리는 것으로 판단하면서 후보간 신경전이 날카로워지고 있다. 기초단체장 후보 경선이 치열한 A·B지역 등에서도 예비 후보간의 험담과 음해성 발언이 난무하는 열전이 펼쳐지고 있다.
반면, 자유한국당은 유정복 시장의 재출마가 확정적인 만큼 경선 출혈 없이 정당 지지율 극복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국당은 기초단체장 후보 경선 역시 현역 구청장에 도전자가 나서는 등의 불가피한 지역을 제외하고는 경선없는 전략공천을 실행 중이다. 뜨거운 경쟁이 진행 중인 C지역 기초단체장 경선에 나선 한 예비 후보는 “물론 내가 나가면 좋겠지만 낮은 당 지지율 상황에서 상대 후보와 끝까지 싸운다면 모두(구청장 시·구의원) 죽는다”라며“내가 양보하더라도 경선없이 합의를 볼 생각”이라고 말했다.
바른미래당 역시 문병호 전 국회의원과 이수봉 시당위원장이 시장 출마를 고심하고 있지만 경쟁 구도가 아닌 협의 구도로 진행하고 있다. 각 기초단체장과 시·구의원 후보 선출 역시 경쟁 구도 보다는 기초단체장 10곳 모두 출마 등의 공동 목표를 추진하고 있다.
정의당은 김응호 시당위원장이 예비 후보 등록 첫날인 지난 13일 등록을 마치고 이번 지방선거의 목표인 두자릿수 득표에 매진하고 있다.
지역 정가의 한 관계자는 “현재 여당의 높은 정당 지지율 판세가 경선 후유증 정도로 크게 바뀌지는 않을 것”이라며 “하지만 상대적으로 여·야간 지지율 격차가 낮은 지역의 기초단체장이나 시·구의원 선거에서는 변수가 될수도 있다”고 말했다.
유제홍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