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공공기관 이전에 대해 구체적 대응방안 마련키로

‘2차 공공기관 지방이전’에 대한 정부와 경기도 간의 논의가 전무(본보 2월27일자 1면)한 가운데 경기도가 자체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도는 과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세종시 이전과 관련, 행정안전부의 ‘중앙행정기관 등 이전계획 변경(안) 공청회’ 결과를 기준으로 구체적 대응방안을 마련해 나갈 예정이라고 27일 밝혔다. 이에 따라 도는 과천시 지역경제활성화 대책을 먼저 수립한 후 과기부의 세종시 이전을 요구할 방침이다.

 

행안부는 2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수도권 과밀해소 등을 이유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세종시로 이전한다는 계획을 비롯, 수도권에위치한 152개 공공기관 중 122개(경기도 28개, 인천시 7개)를 추가로 이전해야 한다는 내용을 주제로 ‘중앙행정기관 등의 이전계획 변경(안) 공청회’를 열 방침이다.

 

이후 행안부는 이를 토대로 구체적인 공식 입장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와 함께 도는 이전이 구체적으로 언급된 과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대해서는 종합대책 마련을 위해 과천시, 경기연구원과의 공동 대응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현재 과천시는 기관 이전 후 해당 부지에 미래산업 R&D 및 테스트베드센터, 글로벌 인재양성 중심의 ‘첨단지능정보 브레인빌리지’ 조성을 건의한 상태다. 이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4차 산업의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 과천시가 수도권 지식기반사업의 거점도시 및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하기 위함이다.

 

도는 주변 테크노밸리 기능 등을 감안해 사업의 타당성 등을 검토할 예정이다. 경기연구원은 개발에 따른 경제적 효과, 일자리 창출 효과 등 계량화 분석과 개발방식을 검토하는 등 기관별 역할을 분담해 공동대응한다는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우선적으로 이전이 구체화 되고 있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대해 과천시와 공동대응하기로 했다”며 “나머지 기관 및 전반적인 대응 방침에 대해서는 향후 국토부의 공식적인 입장을 기다린 뒤 논의를 진행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한진경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