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남춘·김교흥 “실사 결과 토대 정부 대책 필요”
홍미영 “범시민대책위 만들어 市가 논의 주체돼야”
유정복 “여야민정TF, 필요한 시점 오면 구성 검토”
문병호 “자구노력부터”… 이수봉 “생계 대책 우선”
김응호 “노동자·시민사회·전문가, 실사 참여” 제안
한국GM사태가 6·13 지방선거의 핫 이슈로 떠오른 가운데 인천시장 예비 후보들의 행보와 대책 방향 등에서 미묘한 입장차를 보이고 있다.
27일 지역 정가에 따르면 시장 후보군은 경영정상화라는 큰 틀에서는 한 목소리를 내면서도 세부 대책 등에 대해서는 각각의 입장을 밝히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내에서는 박남춘 의원(인천 남동갑)과 홍미영 전 부평구청장, 김교흥 국회 사무총장이 저 마다의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중앙당 한국GM특별위원회에 소속된 박 의원은 한국GM 1차 협력업체와 한국GM노조, 글로벌 GM 관계자 등을 두루 만나며 사태 해결을 위한 당 차원에서의 움직임을 가져왔다. 박 의원은 대주주의 책임 있는 역할 등 정부가 제시한 3대 원칙을 기반으로 한 GM측의 자구책과 산업은행 실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지역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입장이다.
김 총장은 정부의 3대 원칙에 따른 한국GM의 경영정상화 계획과 신차배정 등 자구책 제시, 산업은행 실사 결과를 본 뒤 정부와 인천시가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견해를 내놨다. 여·야민정TF 구성 등 인천 지역 사회가 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창구도 마련돼야 하지만, 먼저 무엇이 한국GM의 경영을 악화하게 했는지 파악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홍 전 구청장은 한국GM 노동자들과 협력업체, 인천시민·사회단체가 함께하는 범시민대책위원회 구성 카드를 들고 나왔다. 인천의 여러 당사자가 논의의 주체가 돼 GM 경영진에 책임을 묻고 사과를 요구해야 한다는 게 홍 전 구청장의 구상이다.
자유한국당 유정복 인천시장은 일자리경제과를 중심으로 정부와 한국GM 사태 해결을 위한 채널을 가동하는 한편, 인천자동차발전협의회를 통해 지역 대응방안에 대해 모색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여·야민정TF에 대해서는 필요한 시점이 오면 구성을 검토하고, 당분간은 시가 구심점이 돼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 정부에 건의할 계획이다.
바른미래당 시장 후보군인 문병호 전 의원은 한국GM이 어려움에 빠지게 된 원인이 파악돼야 대책을 세울 수 있기에 먼저 GM측이 한국GM을 살릴 수 있는 자구노력을 한 뒤 정부나 시가 지원할 부분을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반해 이수봉 시당위원장은 노동자의 생계에 대한 대책이 선행된 뒤 경영위기에 대한 책임소재를 가려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국GM에 대한 경영계획에 대한 평가와 이를 감시 감독하고 선 방향 투자를 이끌어 냈어야 할 정부와 인천시의 무대책이 현 사태를 불러왔기에 이에 대한 책임소재를 먼저 가려야 한다는 것이다.
정의당 시장 후보군인 김응호 시당위원장은 한국GM이 실사를 받는 등 경영정상화에 나서겠다면 먼저 군산공장 폐쇄 입장을 철회하고 원점에서부터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제시했다. 한국GM 위기와 철수설은 이미 몇년 전부터 제기됐기에 정부와 인천시의 대응이 선행됐어야 했지만, 그렇지 못했기에 이번 산업은행 실사에는 노동자와 시민사회 전문가도 함께 참여할 것을 제안했다.
주영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