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이 자리엔 비록 법제사업위원회 소속이지만 홍일표(자유한국당 남구갑) 의원도 함께 자리를 지켜 인천 항공정비산업 육성에 대한 인천 정치권의 모처럼 단합된 모습을 보였다.
이들은 인천국제공항에서 항공기 정비 불량으로 인한 결항률이 지난 2010년 3.9%에서 2016년 23.5%로 해마다 늘고 있어 대책 마련에 돌입한 것이다. 또 국내 항공정비 물량의 약 53%(연간 1조3천500억원)이 해외로 유출되고 있고, 특히 항공기 운항횟수가 가장 많은 인천공항의 해외 유출 정비수요(2017년 기준)도 48.6%(9천400억원)을 차지하는 만큼 공항 인근에 정비(MRO)특화단지를 조성해 항공운항 안전은 물론 신산업 유치로 청년 일자리도 창출하자는 거다. 늦었지만 모든 관계기관이 공개적으로 머리를 맞댄 첫 자리다 보니 기대가 컸다.
다행히 인천국제공항공사 임병기 미래사업추진실장은 “운항횟수를 기준으로 인천공항은 세계 8번째 수준인데, 1위부터 7위까지의 공항은 모두 항공정비 클러스터를 갖추고 있다”며 인천공항도 위상에 걸맞은 항공정비 사업자가 들어올 거라고 밝혔다. 다만 정부지원 없이 민간이 막대한 초기 투자비용을 감당해야 하기에 개발 사업자 유치에 어려움이 있다고 토로했다. 이는 지난해 말 국토교통부가 정부지원 항공MRO 사업자로 경남 사천에 있는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을 선정했듯이 공항공사의 MRO단지를 개발할 사업자도 지원하라는 거다.
8년 만에 인천공항에 입주했다는 Sharp Aviation K 양해구 대표는 “정부가 경남 사천을 MRO단지로 선정하자 항공분야의 저명 잡지에선 ‘한국이 항공주권을 포기했다, 1주일에 150여만 명이 이용하는 인천공항 대신 (이용객이) 0.2%에 불과한 사천이 선정됐다’고 조소하는 기사가 실렸다”고 소개했다. 또 늘어나는 항공노선은 저가항공사(LCC)가 대부분 수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인데 인천공항에 MRO단지가 없다보니 자가 정비가 어려운 LCC의 대다수 항공기는 외국에 나가서 정비를 받는 실정이라고 증언했다.
인천국제공항의 여객 증가에 따른 공항시설 확충 및 항공노선 확대는 추진됐지만 항공기 안전을 위한 정비서비스는 정부의 균형발전 논리에 밀려 한 발짝도 나가지 못했다는 거다. 이에 사천 MRO단지가 군수·제조를 중심에 둔 정부의존형 개발사업이라면 인천공항 MRO단지는 민수 중심의 수출 지향적 클러스터로 차별화하자는 민간 제안을, 정부와 정치권은 귀담아들을 때다. 그간 지방공항활성화 정책에 따라 사천과 청주공항을 저울질하던 정부가 마침내 방침을 정했으니 이제 인천공항으로 눈을 돌려, 사천과의 역할분담을 모색하란 거다.
인천 정치권의 후속조치만 남았다. 시급한 인천항공정비산업 육성을 위해 조속히 정부와 공사, 시와 시민사회가 함께하는 자리를 만들어야 한다. 기대만큼 분발을 촉구한다.
김송원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무처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