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초교 의무취학 아동 11명 소재불명

올해 인천지역 내 초등학교 의무취학 아동 중 11명의 소재가 파악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24일 인천시교육청에 따르면 지난 5일 기준 올해 인천 취학 대상 아동수 2만8천920명 중 2천316명이 예비소집에 참석하지 않았다.

 

각 학교와 교육지원청은 이후 열흘간의 추적을 통해 2천290명의 소재를 파악했다.

소재 불명의 아동 26명 중 15명은 현재 해외로 출국한 사실이 확인돼 부모와 접촉하고 있지만, 11명은 아직 행방이 묘연한 상태다.

 

시교육청은 의무취학 아동의 행방이 확인되지 않을 경우, 학교에서 가정방문을 한 뒤 출입국 사실 확인을 위한 행정정보 조회, 주민센터 차원의 거주지 확인 등의 절차를 거쳐 경찰서에 수사를 의뢰하게 된다.

 

현재 11명 중 5명은 해당 학교에서 출입국 확인 및 소재 파악이 불가능한 상태라며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고, 1명은 주민센터에서 거주지가 확인되지 않는다는 명목으로 수사를 의뢰한 상태다.

나머지 5명 역시 현재 주민센터에서 거주지 확인을 거쳐 조만간 경찰에 수사를 의뢰할 방침이다.

 

의무취학 아동의 소재 파악은 지난 2015년 12월 반바지에 맨발로 집 2층 가스관을 타고 탈출해 근처 슈퍼마켓에서 과자를 훔쳐 먹다 주인에게 발견된 16kg 10대 소녀, 이른바 ‘인천 맨발소녀’ 사건 이후 필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했다. 이후 지난해에도 이른바 ‘평택 원영이 사건’이 벌어지면서 교육부는 초교 개학 전 취학 대상자들의 소재파악을 위해 예비소집을 거치도록 했다.

 

인천시교육청 역시 이 같은 지침에 따라 과거 이원화됐던 의무취학 아동 소재 파악 창구를 학교설립기획과 학생배치팀으로 일원화한 뒤, 지역 학교와 교육지원청을 통해 관련 현황을 수집했다. 시교육청은 아직 소재 파악되지 않은 아동들이 있는 만큼 이들에 대한 소재파악에 주력하겠다는 방침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소재파악 아동을 집중적으로 중점 관리해 소재파악이 될 때까지 매일 인천경찰 및 각 주민센터, 교육지원청 등과 유기적으로 수사 진행상황을 확인할 방침”이라며 “오는 2월 말까지 모든 아동의 소재를 파악하는 게 목표”라고 했다.

 

김경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