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先 민관협의 기구 後 고교 무상급식 바람직”

시민모임, 분담금 이견 조율 촉구

▲ 19일 오전 인천학교급식시민모임 회원들이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2018년도 고교 친환경 무상급식 실시 촉구 및 민관협의 논의를 제안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장용준기자
▲ 19일 오전 인천학교급식시민모임 회원들이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2018년도 고교 친환경 무상급식 실시 촉구 및 민관협의 논의를 제안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장용준기자
인천지역 고등학교 무상급식 추진에 앞서 민관협의 기구부터 구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인천학교급식시민모임(이하 시민모임)은 19일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고교 무상급식은 인천시, 인천시교육청 등 관련 기관과 시민사회가 민관협의 기구를 통해 이견을 조율한다면 더욱 원만하게 추진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현재 지역 내 고교 급식 대상자 9만2천명의 학생 중에서 저소득층 자녀 등 1만4천명의 학생이 급식비를 지원받고 있다. 지역에서는 이들 학생이 눈칫밥을 먹지 않을 수 있도록 무상급식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시는 지난달 26일 ‘시민이 행복한 애인정책 시리즈 1’을 발표하면서 정부가 2020년부터 시행할 고교 무상급식을 조기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후 고교 무상급식에 대한 사업비 분담을 위해 시교육청, 군·구와 협의를 진행 중이다.

 

시민모임은 “기왕 실시하기로 한 고교 무상급식은 부분적 실시가 아니라 전면실시로 추진하는 것이 학교 내 집행과 학생들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방법”이라며 “쟁점이 되는 예산 배분 문제는 상호 적절한 논의를 통해 원만하게 해결돼야 하기 때문에 민관협의 기구를 만들어 이른 시일 내 논의를 매듭져야 한다”고 요구했다. 또 시민모임은 이 자리에서 공적조달시스템 구축을 위해 학교급식지원센터 운영을 촉구했다.

 

박인숙 시민모임 대표는 “친환경무상급식을 실현하고, 안전·안심 학교급식을 만들 수 있도록 학교급식지원센터를 설립할 것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김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