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올 저출산·고령사회 대응 위해 '아동이 행복한 도시, 품위있게 나이들어 가는 도시'로 나아가야

인천이 앞으로 다가올 저출산ㆍ고령사회에 대응하려면 ‘아동이 행복한 도시, 품위있게 나이들어 가는 도시’로 나아가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21일 국무조정실 산하 연구기관인 육아정책연구소가 발표한 ‘저출산·고령사회 대응 기본계획 수립 연구 용역 최종보고’에 따르면 인천의 합계출산율(한 여성이 가임기간 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자녀의 수)은 2011년 이후 계속해서 전국 시ㆍ도 중 13위를 기록 중이다. 특히 지난해에는 1.17명으로 전년 대비 감소했고, 올해 1~5월 출생아 수 역시 지난해와 비교해 12.4% 줄어들었다.

 

또 인천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2015년 기준 총 31만2천905명으로, 전 연령 인구 292만5천815명의 10.5%에 해당한다. 현재 인천의 노령화 지수는 낮은 편이나, 2040년께는 29.9%에 이를 정도로 노인 인구가 많이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같은 저출산ㆍ고령화 추세에 대해 육아정책연구소는 우선 신혼부부의 행복주택 입주기준 완화 등 ‘청년층 결혼지원 내실화’, 양육보조금 지원 강화 등 ‘자녀 양육비 부담의 실질적인 완화와 형평성 제고’, 육아코디네이터 양성 및 지원 등 ‘돌봄 지원 사각지대 해소’, 일ㆍ가정 양립지원센터 운영 등 ‘가족친화 사회환경 지원체계 구축’을 저출산 대책의 정책 과제로 제시했다.

 

이와 함께 고령화 대책의 정책 과제로는 시민과 함께 알아가는 노후소득 설계 등 ‘노후소득보장 강화’, 고령자 종합 건강관리 코디네이터 운영 등 ‘노인건강관리 및 의료지원 강화’, 은퇴자 인생이모작 컨설팅 및 사회활동 연계 서비스 등 ‘노인의 건강하고 활기찬 사회활동 지원’, 독거노인가구 맞춤형 실버임대주택 사업 및 정기 생활지원 등 ‘노인부양ㆍ돌봄ㆍ일상생활 지원의 지역사회 역할 강화’, 고령친화도시 조성 지원사업 등 ‘고령친화 환경 조성’을 설명했다.

 

육아정책연구소는 이들 정책과제 및 세부사업과 ‘아동과 부모가 모두 행복한 도시, 인천’, ‘편안하고 품위 있게 나이들어갈 수 있는 도시, 인천’이라는 비전을 토대로 다가올 저출산ㆍ고령사회에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 관계자는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저출산ㆍ고령사회 대응 기본계획을 올해 안에 수립하겠다”며 “지역 특성을 반영한 차별화된 대책으로 적극적인 대응을 하겠다”고 말했다.

 

김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