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 6·8공구 주거지 과잉개발 막아야 했다, 인천경제청 사업무산 2번째 공식 해명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송도국제도시 6·8공구 D1·S1부지 개발사업 우선협상 무산 이유를 경제자유구역 지정 목적에 합당한 개발사업 추진을 위해서라고 기존 원칙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6·8공구 북단에 이미 아파트·오피스텔 위주 개발사업이 진행되다보니 국제업무시설과 관광레저·주거가 결합된 국제도시 개발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임을 강조했다.

 

김진용 인천경제청 차장은 20일 인천시청에서 기자설명회를 열어 지난 7일 블루코어컨소시엄 측과 사업협약이 무산된 이유를 재차 설명했다. 블루코어 측이 (가칭)68 랜드마크 타워 동시착공을 받아들이지 않은데다 주거시설을 과도하게 요구해 경제자유구역 목적 개발 방향에 맞지 않다는 이유를 제기했다.

 

김 차장은 “송도 6·8공구에 151층 인천타워 건립이 무산되면서 국내외 유수기업 유치를 위해서는 최소 20만㎡의 업무시설이 필요하다”며 “경제자유구역 지정목적과 국제비즈니스도시 조성에 부합할 필수적인 시설이지만 사업시행예정자가 이에 대한 구체적 계획을 제시하지 않아 이를 요구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송도 6·8공구는 인천시 재정건전화를 위해 이미 공동주택용지 위주로 매각이 끝나 인구 고밀도 개발이 진행 중”이라며 “아파트와 오피스텔만 남는 신도시 건설에 그치면 안된다. 6·8공구 남단 만이라도 경제자유구역청 취지에 맞게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이날 인천경제청이 발표한 지난해 12월 기준 ‘송도 6·8공구 세대구 현황 및 비교 검토’를 보면, 6공구 계획인구는 3만5천311명(1만3천275가구), 8공구 3만7천410명(1만4천670가구)으로 도합 7만2천721명이다. 여기에 블루코어 측이 협상 과정에서 요구한 주거단지 증가분을 합치면 계획인구가 10만2천656명(4만1천153가구)에 육박해 인구 과밀이 극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더구나 블루코어 측은 수익을 내기 위한 주거단지 확대를 인천경제청에 요구하면서도 주요 랜드마크 시설 3곳(복합문화자족시설·해변거인국 동화마을·대형관람치)의 구체적 컨셉과 규모, 총투자비 등에 대한 구체적 답변을 사실상 거부해 협약 체결을 할 수 없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그러나 김진용 차장은 사업협약 무산에 따라 예상되는 블루코어 측의 소송 제기와 6·8공구 개발사업 재개 등 향후 계획에 대해서는 구체적 답변을 피했다. 그는 “우선협상자 지위가 취소된 민간사업자와 법적 분쟁 등 다양한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다”며 “당장 사업자 재공모 가능성은 낮다”고 덧붙였다.

 

주영민·양광범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