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지방채 조기환매를 통해 채무비율 최저화에 나선다.
20일 시에 따르면 지난 19일 ‘인천시 지방채 조기환매 참여 제안 공고’를 냈다. 시는 총 12개 회차 5천222억원 상당의 채권 중 일부를 조기환매(바이백)할 계획이다. 조기환매 예정액은 액면 기준 705억2천620만원으로, 공모 결과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시는 부동산 시장 활성화 등에 따라 자금 유동성이 좋아져 이번 지방채 조기환매를 추진하게 됐다. 앞서 시는 지난 6월에도 경쟁입찰을 통해 지방채 453억원을 조기환매한 바 있다.
시는 이번 지방채 조기환매를 통해 채무비율을 0.5%p가량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시의 채무비율은 올해 6월 말 기준 24.1%다.
지방채 조기환매에 따른 효과는 이자 부분에서도 큰 효과를 낼 것으로 보인다. 이번 조기환매 대상 채권의 발행금리는 최저 2.265%에서 최고 2.860%에 달한다. 특히 발행회차 ‘제37-4회’, ‘제37-5회’ 채권을 제외하고 10개 회차 채권은 만기일이 2020년 이후다. 이 중 ‘제34회’ 채권의 경우는 만기일이 오는 2029년 11월 10일에 이를 정도다. 결국, 시가 조기환매를 통해 지방채를 되사들이면 최대 12년 동안 2% 이상의 이자 지출을 줄일 수 있게 되는 셈이다.
시는 최근 수년 동안 재정위기 단체라는 불명예를 안아야 했다. 2014년 아시아경기대회 개최, 인천도시철도 2호선 건설 등 대형 사업을 동시에 추진하면서 2015년 1분기 채무비율이 39.9% 수준까지 올랐다. 또 지난해 말 기준 채무비율이 30.4%로 전국 시ㆍ도 가운데 유일한 재정위기 ‘주의’ 단체로 남기도 했다.
그야말로 위기에 몰린 시는 지난 2015년부터 ‘재정 건전화 3개년 계획’을 시행했다. 이후 보통교부세와 국비 지원금 확보 등을 통해 시는 민선 6기 출범 이후 2년6개월 동안 8천956억원의 빚을 갚았다.
시는 이번 지방채 조기환매와 추가경정예산 등을 토대로 연말까지 채무비율을 22.1%까지 줄이겠다는 방침이다.
유정복 시장은 “만기기 돌아오지 않은 지방채를 조기에 환매 할수 있다는 것은 그 만큼 시 재정에 여유가 생겼다는 의미”라며“예정대로 조기환매가 이뤄진다면 채무비율 감소와 이자 부분 등에서 큰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지방채 조기환매에 대한 제안서 접수는 오는 28일 오전 10시부터 11시까지 1시간이고, 대금 지급은 29일에 이뤄질 예정이다.
김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