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4차 산업혁명에 발맞춰 내년부터 ‘바이오산업 육성 전문센터’를 구축하고 ‘첨단자동차 전장부품기업’ 육성 한다는 계획에 빨간불이 켜졌다. 거액의 국비가 투입돼야 하는 사업인데 확보가 원활하지 않기 때문이다.
20일 시에 따르면 내년 3월부터 2021년 2월까지 총사업비 42억원(국비 30억원, 시비 6억원, IBITP 6억원)을 들여 4차 산업혁명의 선도사업인 바이오산업의 입지를 다지기 위해 ‘바이오산업 육성 전문센터’를 구축키로 했다. 또 오는 2021년까지 첨단자동차 전장부품기업 육성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 180억원(국비 100억원, 시비 60억원, 민간 20억원)의 예산을 투입키로 했다.
시는 바이오육성센터가 조성되면 바이오 전문훈련센터 교육장비와 전문강사진을 구축, 삼성바이오와 셀트리온 등 바이오업체의 인력난을 해소(3년간 전문인력 144명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는 국제공항과의 거리가 가깝고 국제기구와 바이오업체, 대학 등이 밀집한 송도국제도시가 바이오육성센터를 세우기 최적의 장소로 보고 있다. 하지만, 올해 9월 예정됐던 산업통상자원부의 공모가 연기되면서 계획에 차질을 빚게 됐다. 해당 사업을 관할 하는 부서가 산업부에서 새롭게 생긴 중소기업벤처부로 이관됐기 때문이다. 중기벤처부는 현재 장관조차 없이 조직을 꾸리고 국정감사를 준비하느라 다른 일에 신경쓸 여유가 없는 상황이다.
민선6기 공약사업인 ‘첨단자동차 전장부품기업 육성’은 ‘GM 철수설’ 등 급변하는 자동차산업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기획됐다. 시는 지역 전장(전기, 전자)기업 연구개발(R&D) 지원으로 내년부터 향후 5년간 매출 1천800억원, 고용 1천400명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국비 확보가 불투명해지면서 가시밭길을 걸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가 시 자체 예산을 투입한 효과를 본 후 사업성을 따져 지원여부를 결정하겠다는 견해를 내놨기 때문이다. 결국, 시는 내년 예산으로 19억원(시 14억원, 민간 5억원)을 세우는 데 그쳤다.
시 관계자는 “4차 산업혁명에 발맞춰 지역 먹거리를 찾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면서도 “해당 사업들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정부 공모와 국비 확보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주영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