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5년까지 친수거점 6곳 생태ㆍ관광ㆍ레저 단계별 개발
인천시가 테마별 해양체험이 가능한 해양친수도시 청사진을 내놨다.
18일 시에 따르면 해양친수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6개 친수공간을 선정해 테마별 해양체험기능을 부여키로 했다. 6개 친수거점은 경인항과 내항, 송도, 소래, 영종, 강화 등이다.
경인항은 경인아라뱃길과 청라지역의 친수거점으로 해양레저와 교육중심으로 육성된다. 내항은 내항재개발과 개항창조도시 재생사업 등 이미 추진하고 있는 사업과의 시너지효과를 위한 역사·문화재생 거점지역으로 조성된다. 송도는 워터프린트 기본계획과 병행해 옛 송도 유원지의 명성을 되찾을 수 있는 해양문화·레저 친수 거점을 목표로 추진된다.
소래는 소래포구와 소래습지생태공원을 중심으로 해양·생태 거점으로, 영종은 인천국제공항이 인접하고 미단시티와 하늘도시 등 경제자유구역 개발사업이 추진됨에 따라 외국인과 국내 관강객 유치를 위한 국제해양관광 친수거점으로 탈바꿈 한다. 강화는 해안변 돈대와 진, 선착장 등 역사자산과 갯벌을 활용, 어촌체험기능이 담긴 생태·문화·체험 중심의 거점 역할을 담당한다.
시는 이들 6개 친수 거점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공공자전거 시스템을 도입하고 버스정류장을 신설하는 등 버스 노선 정비, 공공 여객선과 유람선을 확충하는 ‘거점간 육·해상 네트워크’를 마련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시는 친수거점 역할 강화를 위해 소래해넘이 다리와 화수부두, 만석부두, 청라 일반산업단지, 강화갯벌 람사르 습지, 거잠포, 아암도 비치파크, 씨사이드파크, 미단시티, 송도 6·8공구 해양랜드마크, 연안부두 바다쉼터, 북인천복합단지, 영종 왕산교, 작약도, 북성포구, 송도 남측수로, 여차리 갯벌정원, 후포항, 분오항, 경인항 마리나, 소월미도 인방사, 송도 10공구, 인천해사고등학교, 영종2단계 준설토기장 등 24개 친수공간 활용지역도 선정했다.
시는 해양친수도시 조성 기본구상의 파급효과를 극대화하고 재정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이들 24개 친수 공간중 7개 지역(소래해넘이 다리, 화수부두, 만석부두, 청라 일반산업단지, 강화갯벌 람사르 습지, 거잠포, 아암도 비치파크)을 선도사업으로 선정, 2020년까지 완료키로 했다.
이어 1단계 사업으로 2025년까지 씨사이드파크 등 5곳의 해안을 개방하고, 2단계 사업으로 2030년까지 영종 왕산교 등 시민여가공간 7곳을 조성키로 했다. 또 3단계 사업으로 2035년까지 경인항 마리나 등 5곳을 해양관광산업 활성화 지역으로 만들기로 했다.
시 관계자는 “재정부담 완화를 위해 국비를 확보하고 2035년까지 단계별로 추진할 계획”이라며 “중앙정부, 군부대 등 관계기관과 협의체를 구성, 지속적인 협업을 추진하는 한편, 전담조직 신설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주영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