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종~청라 제3연륙교 건설… 수도권광역교통체계 구축

국정기획자문위원회, 문 대통령에 ‘인천 지역공약’ 전달
정부 ‘지역TF팀’ 운영 예정… 오는 2024년 완공 청신호

영종~청라간 제3연륙교 건설 사업이 탄력을 받게 됐다.

 

국정기획자문위원회가 문재인 대통령에게 전달한 인천 지역공약에 ‘제3연륙교 건설’을 통해 수도권광역교통체계를 구축해나가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18일 국정기획자문위원회는 지역공약을 4가지(지역산업 혁신, 교통·지역개발, 공공기관 이전 등 제도 혁신, 기관 설치 등) 유형으로 분류해 17개 시·도 공약 130개, 시·도간 상생공약 13개 등 총 143개 공약을 발표했다.

 

이날 문 대통령은 “국정기획자문위원회로 부터 전달받은 100대 국정과제 등을 부처별로 다듬어 추진할 예정”이며 “매년말 국정과제 보고회 열어 점검할 것”을 약속했다.

 

제3연륙교 사업은 중구 영종지역과 서구 청라지역을 연결하는 사업이다.

영종~청라를 연결하는 제3연륙교 건설사업은 해상교량 3.54㎞ 포함 연장 4.85㎞, 총사업비 5천억원이 소요된다.

 

사업비는 LH가 아파트 분양가에 반영해 건설사업비 5천억원이 확보되어있다.

그동안 제3연륙교 건설이 지지부진한 이유는 정부가 현재 운영하고 있는 인천대교와 영종대교 민자사업자의 최소운영수익보장(MRG)에 따른 손실보전금이 과다해 해법을 찾지 못했다.

 

하지만 국토연구원에서 지난 2011년 발표한 영종대교와 인천대교의 손실보존금은 각각 5천400억원, 5천200억원 등 총 1조500억원에서 최근엔 손실보존금이 절반가량 떨어진 6~5천억원 이하로 추산되고 있다.

 

민자도로인 영종대교와 인천대교 손실보존금 기간은 각각 2030년과 2039년이다.

정부에서 영종대교 등의 손실보존금 문제로 제3연륙교 건설이 지연되면서 그동안 영종지역 아파트의 미분양 및 개발사업 추진도 탄력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국정기획자문위원회 인천지역 공약에 제3연륙교 사업이 포함됐고, 손실보존금도 줄어들어 사업 추진에 가속도가 붙을 예정이다.

 

정부는 제3연륙교 등 지역 사업 추진을 위해 지역TFT팀을 운영할 예정이다.

또한 청와대 균형발전비서관 및 지역발전위원회가 총괄·조정해 상시관리하고, 지역공약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가칭)균형발전 상생회의 개최’를 병행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이에 대해 시관계자는 “국토부에서 영종대교 등 사업자와 손실보존금 등을 놓고 예전보다 협의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고있다”며 “제3연륙교 사업은 현재 기본설계중이며, 실시설계 등을 거쳐야 계획대로 진행되면 오는 2024년 완공예정”이라고 말했다.

 

허현범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