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동성 총장 기자회견… 석학 5명 초빙 바이오분야 선택과 집중 ‘노벨상’ 목표
‘로보트·드론’ ‘미래도시’ ‘기후변화’ 등 순차적으로 연구분야 확대 청사진 밝혀
인천대학교가 글로벌 석학 5명을 초빙해 세계 수준의 바이오 연구중심대학에 도전한다.
조동성 인천대 총장은 10일 오전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인천대는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명실상부한 바이오 연구중심대학으로 우뚝 서겠다”고 선언했다.
조 총장은 이어 “오늘 바이오를 첫 번째 연구봉우리로 선택했고 향후 ‘로보트·드론,’ ‘미래도시,’ ‘녹색기후기금(GCF)와 연계한 기후변화,’ ‘중국,’ ‘통일 후 남북통합’ 등 이공계와 인문사회 분야에서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연구봉우리’를 순차적으로 세워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인천대가 이번에 초빙하는 글로벌 석학 5명 모두가 외국인이다. 이중 2명은 한국계 미국인이고, 1명은 인도계 미국인, 2명은 유럽인이다. 김성호 교수와 유전체연구 권위자인 이민섭 박사가 한국계 미국인이고, ‘국경없는 의사회(Doctors Without Borders)’ 대표를 역임한 우니 카루나카라(Unni Karnakara) 예일대 연구교수는 인도계 미국인이다.
UN산하 국제백신연구소 과학자문위원장과 빌게이츠재단 수석고문을 맡고 있는 랄프 클레멘스(Ralf Clemens) 교수는 독일인이고 네델란드 빈데샤임대학교 총장과 위트레흐트대학교 생명대 학장을 역임한 알버트 코넬리슨(Albert Cornelissen) 교수는 네델란드인이다.
인천대는 구조생물학분야에서 세계 학계를 이끄는 김성호 UC 버클리대 교수이를 석좌교수로 영입해 융합과학기술원장으로 삼아 글로벌 바이오산업의 발전을 리드하는 세계 굴지의 R&D 생태계를 송도에 조성하는데 앞장서겠다는 계획이다.
인천대는 김 교수의 융합과학기술원 원장 취임을 계기로 바이오 분야에서 ▲연구 및 클러스터 중심 ▲국내 및 국제 대학간, 연구소간 협력연구 중심 ▲기업과의 협업 연구 플랫폼 ▲바이오 융합 연계 전공 특화대학을 지향하는 등 연구프로젝트의 선택과 집중을 통해 노벨상에 도전한다는 계획이다.
주영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