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경전철 증인·참고인 10명… 대부분 퇴직공무원, 10일 출석 관심집중

시의회 특위 파산원인 등 조사
1999년 당시 과장·국장 등 다수
강제못해… 참석 불투명 가능성

의정부시의회 의정부 경전철 조사특별위원회가 경전철사업 추진 경위와 파산 원인 등을 조사하고자 채택한 증인과 참고인들의 참석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강제성이 없는데다 참석해도 경전철사업이 10여 년 전부터 추진돼 이들이 과연 얼마나 사실 관계를 정확히 기억해 낼 수 있을지 의문시되고 있기 때문이다.

 

의정부 경전철 조사특별위원회(이하 특위)는 지난 1999년 경전철 민간투자사업 고시 이후 경전철 건설 관련 부서 과장과 국장 등으로 재직했던 의정부시의 전ㆍ현직 간부 공무원 9명을 증인으로 채택했다. 팽정광 전 의정부 경전철(주) 대표도 참고인에 포함됐다. 

특위는 이들에게 출석을 통보하고 참석자들을 대상으로 오는 10일 열리는 제7차 회의를 통해 노선기본계획 결정과 변경 등을 비롯해 실무협약체결 전후 과정 등에 대한 증언을 들을 계획이다.

 

그러나 3차례 출석을 요구했는데도 정당한 사유 없이 불응할 때는 시에 의뢰해 최고 500만 원까지 과태료를 부과하게 돼 있을 뿐 출석을 강제할 수 없어 얼마나 참석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증인 가운데 현직에 있는 공무원은 2명뿐이고 대부분 5~6년 전에 퇴임한데다 일부는 양주시로 전출된 뒤 퇴임한 신분으로 현재 사는 곳조차 파악이 어려운 상황이다. 시청의 한 간부 공무원은 “현직을 제외한 퇴직자들이 나오려고 하겠느냐”면서 “이런저런 핑계로 나오지 않으면 어떻게 할 방법이 없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특위의 한 의원은 “몇 분이나 참석할지 모르겠지만, 당시 사업 추진과정의 의사결정 라인에 있던 간부 공무원을 대상으로 당시의 상황을 듣는 건 매우 중요한 절차라고 본다. 시의 최대 현안인 만큼 책임감을 갖고 참석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특위는 제7차 회의가 끝난 뒤 안병용 시장을 비롯한 김기형ㆍ김문원씨 등 전ㆍ현직 시장을 증인으로 채택할지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특위는 3~4일 용인과 김해 등지를 방문, 위기 극복사례 등을 직접 살펴볼 예정이다.

의정부=김동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